눈먼 자들의 국가 -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 이런 책이 나와야 하는 현실이 슬프다. 이런 책을 내준 「문학동네」가 고맙다. 고마워서 낙망하는 심정의 실재를 해량할 테니 이에 관해 길게 주절대지 않겠다.

 

1. 이 책의 이름이 「눈먼 자들의 국가」인 게 다행이다. 불행이다.

 

2. 「문학동네」특집도 어깨를 추어올리고 얼굴을 묻어가며 읽었고 「눈먼 자들의 국가」에 실린 다른 글들도 안경을 벗고 마른 침을 삼켜가며 읽었다. 읽어 나아가면서 어깨는 내려왔고 얼굴은 들어 올려졌다. 안경은 다시 눈앞에 자리 잡았고 침은 더 이상 마르지 않았다. 다시 한 번 읽는다. 또 다시 읽는다. 지금도 읽기를 반복하면서 이 글을 더듬더듬 쓴다. 왜 이러나. 여러 번 읽는다고 해서 그 곡절이 명료하게 드러나는 것도 아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일부 작은 내용을 빼고는 모든 글들이 한 방향을 향해 있다는 사실이다. 그 방향은 이미 기울어진 길을 따라 “안 돼! 안 돼!” 하면서 미끄러져 내려갈 수밖에 없는 바로 그런 방향이다. 그러니까 여기 정치의 이름으로 자행된 제노사이드 앞에서 묘비명 이야기를 최선 다해 하자, 뭐 그런 느낌이 든다는 말이다.

 

3. 물론 「문학동네」가 합의한 사회정치적 견해가 느슨하게나마 있을 것이다. 거기에 터하여 원고 청탁을 했을 테다. 물론 「문학동네」동네 인사들이 저마다 지닌 상처의 상황이 있을 것이다. 거기에 터하여 원고 청탁을 받아들였을 테다. 모든 정황을 감안하고서도 의아해마지 않는 것은 왜 열두 편의 글들이 일제히 어떤 지점에서 멈추어 서느냐, 하는 점이다. 정치집단의 공식 입장도 아니고, 제도언론의 보도·논평도 아니건만, 날카롭든 날렵하든 엄중하든 둔중하든 진실의 불투명성 속으로 단도직입하는 섬뜩한 미학적 윤리적 기미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두어 사람의 글, 두어 부분에서 톡 쏘는 맛을 낼 뿐. 심지어 어떤 글들은 마지막에 너무나 당연한 몇 마디 하기 위해 장황한 서구 레퍼런스를 방패막이 삼기도 한다. 심지어 어떤 글들은 동어반복으로 일관한다. ‘공공公共의 상상력’이 이렇게까지 결딴난 사회인가. 참담하다.

 

4. 처음에는 열두 편의 글 하나하나 정성스레 덧손질 해 볼 요량이었다. 그만둔다. 무명의 변방 의자醫者로서 두어 마디만 말하려 한다.

 

열두 편의 글을 관류하는 개념 둘은 무능과 부재다. 이는 사고가 사건으로 전화되었다는 대전제 아래 형성된 개념이다. 만일 처음부터 사건이었다면 무능은 전능이며, 부재는 편재다. ‘공공公共의 상상력’은 이 쟁점을 유언비어로 유기해서는 안 된다.

 

사적 소회는 치지도외하고라도 공적 분석을 가한 사람들에게서조차 역사의 문제를 곡진·결곡하게 거론한 경우가 거의 없다. 공시적synchronic 프레임만큼, 아니 보다 더, 잔혹하며 집요한 악의 에너지는 통시적diachronic 내러티브에서 나온다.

 

0. 우리는 모두 명확하고도 모호한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 그 모순된 공포가 어디서 왔는지 묻지 않고 어떻게 극복할지 묻는 질문은 대체 무슨 질문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