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재는 또 다른 현실이 아니라 현실의 오작동이다. 비유컨대 현실이 어떤 그물망 같은 것이라면, 그 그물망의 어딘가가 찢어질 때 그 망의 틈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어떤 것, 혹은 찢어짐이라는 사건 그, 자체가 실재다.·······실재의 미학과 실재의 정치학을 분별해야 한다·······실재에 대한 집요한 미학적 추구가 어떤 매개도 없이 실재의 정치학으로 도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기괴함과 섬뜩함이 다른 것과 같은 이치다. 기괴함(grotesquerie)이 낯선 것들과의 조우에서 발생하는 미학적 효과라면 섬뜩함(uncanniness)은 낯익은 것이 돌연 낯선 것으로 전화될 때 발생하는 (미학적 효과이면서 동시에) 정치적 효과다. 현실적인 것의 내부로 잠입해 들어가 그것과 뒤섞여 종내에는 현실적인 것의 내부에서 그것을 찢고 나와야 한다. 그럴 때 기괴함은 섬뜩함으로 도약하고, 실재의 미학은 실재의 정치학과 결합한다.(671-672쪽)

 

 

많은 사람들이 모르(거나 모른 척 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미 섬뜩함이 일상화된 사회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낯익은 것이 돌연 낯선 것으로 전화될 때 발생하는 정치적 효과로서 섬뜩함은 적어도 우리사회에서는 현실의 그물망이 찢어질 때 나타나는 실재가 아닙니다. 현실의 그물망 자체가 섬뜩함으로 오염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최근 보도에 따르면 전문 직종 종사자 가운데 성직자의 성범죄율이 압도적 1위라 합니다. 성직자는 영적 권위로서 우리에게 낯익은 존재입니다. 어느 날 그가 치마 속으로 손을 집어넣습니다. 이 절대적으로 낯선 순간, 즉각 영적 권위에 대한 외경을 버리고, “손 치워, 이 새끼야!” 날카롭게 소리칠 수 있는 여성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영적 권위와 비윤리적 범죄 사이 그 어떤 이음새도 없는 모순이 찰나적으로 생성될 때 모든 사람은 아득한 무서움과 진저리칠 끔찍함에 사로잡히고 맙니다. 바로 이것이 섬뜩함입니다. 이 섬뜩함에 터한 초현실적 권위가 일상으로 군림하는 사회의 이름이 다름 아닌 대한민국입니다.

 

현실을 찢고 나오는 오작동, 그러니까 ‘어긋냄’으로써 추구해야 할 실재는 더 이상 없습니다. 오히려 악의 실재가 현실을 식민화한 상태입니다. 국권상실과 군부독재를 거치면서 통치 집단은 기탄없어지고(無忌憚-중용 제2장), 피치 집단은 노예화되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통치 집단은 대놓고 권위를 사용해 범죄를 저지르고, 피치 집단은 그를 받아들여 내면화했다는 것입니다. 피치 집단의 내면화는 섬뜩함을 섬뜩함으로 자각하지 못하고 숭배하며 심지어 즐기기까지 하는 정신장애 상태입니다. 선의 부재라는 속임수를 쓰던 악이 실재로서 전면으로 나와 거침없이 살인과 수탈을 자행해도 마냥 순종하고 찬양합니다. 세속화한 신비주의 정치종교의 맹신도가 된 것입니다.

 

이런 상태에 처한 피치 집단을 치료하고 구원하려 할 때 필요한 것은 현실의 그물망을 찢는 물리적 방식이 아니고 오염 또는 중독 상태를 정화하는 화학적 방식입니다. 2014년 4월 16일 이후 대한민국의 정치는 이미 정치가 아니기 때문에 정치적 해결방식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정치제도나 정권을 바꾸는 방식이 아니라 인문적 방식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그 인문적 방식은 과연 무엇일까요? 이것을 찾기 위한 대장정에 지금 당장 나서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