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욕망은 그 자체가 하나의 서사다. 욕망은 개체보다 크다. 내가 욕망의 주인이 아니라 욕망이 나의 주인이다.·······욕망은 반성을 모르고 후진을 알지 못한다. 그것은 최종적인 목적어가 없는 동사다.·······내가 원하는 그것을 너는 갖고 있지 않다는 것, 그것이 욕망의 서사를 대체로 비극으로 만든다. 애착은 불안을, 불안은 집착을, 집착은 파괴를 부를 것이다.(653-654쪽)

욕망(핏물)을 충실히 탐구하지 않은 사랑(눈물)은 힘 있는 자들의 거드름이거나 위선이기 쉽다.·······욕망은 가까운 곳에서 천 개의 얼굴을 하고 있지만 사랑은 먼 곳에서 단 하나의 얼굴로 빛나고 있다.(665쪽)

 

대한민국은 드라마공화국입니다. 드라마가 하루를 열고 드라마가 하루를 닫습니다. 드라마가 입시경쟁률을 뒤흔들고 드라마가 특정 개념에 대한 사회통념을 바꿉니다. 드라마 속 인물과 현실 배우를 일치시켜 환호하고 욕하는 풍경은 이미 오래 전에 익숙해져버렸습니다. 이 드라마 대부분은 선악의 대결을 극단적으로, 그러니까 ‘막장’으로 끌고 가 시청자를 움직임으로써 시청률과 광고수입을 연동시킵니다. 선악 대결이 돈을 ‘대박’으로 물어오려면 해피엔딩이라는 미끼가 있어야 합니다. ‘연민정’은 파멸하고 ‘장보리’가 끝내 이기고야마는 행복한 결말을 전제해야 ‘연민정’의 악행을 재미지게 즐길 수 있으니 말입니다. 여기가 바로 함정입니다.

 

해피엔딩의 함정에 빠진 대중은 몇 가지 착각에 중독됩니다. 우선, 자기 속의 악을 은폐하고 스스로 의롭다 여깁니다. 그 다음, 드라마를 보는 것으로 의로움에 참여했다고 느낍니다. 마지막으로, 현실도 해피엔딩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착각에 인정할만한 요소가 들어 있음을 모르지 않습니다. 좀 더 근본적으로 통찰해보면 실로 엄청난 왜곡을 깔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드라마를 보면서 흔히, 그래서 치명적으로 잘못 생각하는 것이 있습니다. 드라마 속 악인을 보면서 현실에는 저런 악한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드라마 속 의로운 주인공은 실제로 존재한다고, 대개 자신과 일치시켜서 생각합니다. 현실은 정 반대입니다. 드라마 속 악한보다 훨씬 더 사특한 존재들은 득실거리고 의로운 주인공은 거의 전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사람이 되려고 애쓰는 사람들은 그렇게 되기 전에 다 쓰러져버리기 때문입니다. 살아 있을 수도 없고 주인공이 되는 일은 더더구나 없습니다.

 

서사성과 논리성 무시한 채, 이어지고 또 이어지는 악행을 하던 악인이 어이없이 ‘용서당하고’ 화해의 일원으로 포용되는 과정을 반복해서 지켜보면서 대중은 악을 제대로 다루는 감각을 상실합니다. 악의 실재를 가볍게, 우습게 여기도록 세뇌됩니다. 악에 대해 일으키는 공분의 힘은 국론분열, 종북, 무임승차, 떼쓰기, 유언비어, 시체장사, 국가모독 등 숱한 이름의 악으로 도리어 매도당합니다. 결국 의도했든 아니든 드라마왕국의 작가와 감독들은 현실인식의 전도현상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중이 이렇게 선악의 진실을 뒤집어 이해하고 있는 동안 헤게모니블록은 자신들의 욕망을 무한 증폭시키는 일에 몰두합니다. 욕망을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산되는 악의 문제를 처리해주는 공신들이 있으므로 일이 마냥 쉽습니다. 욕망을 대놓고 드러내도 온갖 설정과 의미부여로 ‘사랑’이라 인증해주니 쉬울 수밖에 없습니다. 제노사이드에서 민영화까지 천 개의 얼굴을 한 거대한 욕망이 눈앞에서 자신의 심장을 정조준하고 있는 줄도 모르고 하늘 높이 뜬 빛나는 ‘하나’에 눈 팔려 있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적어도 그들 자신을 지키기 위해 욕망이 무엇인지, 어떻게 악을 낳으면서 작동하는지 충실히 탐구할 기회를 주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