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나’를 ‘너’에게 먹임으로써 ‘나’ 자신에게서 빠져나올 수 있다. 사랑은 우리를 다른 존재가 되게 한다. 그것이 봉헌의 기적이다. 하나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다.·······아름다운 둘이 되기 위해서다.(593쪽)

 

칼릴 지브란을 듣습니다.(연 구분-인용자)

 

함께 있되 거리를 두라.

그래서 하늘 바람이 너희 사이에서 춤추게 하라.

서로 사랑하라.

그러나 사랑으로 구속하지는 말라.

그보다 너희 혼과 혼의 두 언덕 사이에 출렁이는 바다를 놓아두라.

서로의 잔을 채워 주되 한쪽의 잔만을 마시지 말라.

서로의 빵을 주되 한쪽의 빵만을 먹지 말라.

함께 노래하고 춤추며 즐거워하되 서로는 혼자 있게 하라.

마치 현악기의 줄들이 하나의 음악을 울릴지라도 줄은 서로 혼자이듯이.

서로 가슴을 주라.

그러나 서로의 가슴속에 묶어 두지는 말라.

오직 큰 생명의 손길만이 너희의 가슴을 간직할 수 있다.

함께 서 있으라.

그러나 너무 가까이 서 있지는 말라.

시원의 기둥들도 서로 떨어져 있고

참나무와 삼나무는 서로의 그늘 속에선 자랄 수 없다.

 

결혼식에 가면 주례가 흔히, 아니 거의 빼놓지 않고 ‘부부는 일심동체’라는 말로 사랑을 강조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며느리 아니고 딸이라며 시아버지더러 안아주라 하고, 사위 아니라 아들이라며 장모더러 안아주라 합니다. 이런 언행들이 모두 호들갑 떠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주례를 설 때, 반대로 서로 남이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그 호들갑은 도리어 현실 인식을 모호하게 하고 왜곡시켜 진실을 흐트러뜨릴 따름입니다. 부부는 정녕 일심동체일까요? 그래야 할까요? 이미 칼릴 지브란이 답을 주었습니다.

 

저명인사 부부가 TV 대담 프로그램에 나와 자신들은 한 평생 부부싸움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면 사회자와 방청객이 함께 감탄의 소리를 내지르는 광경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실은 감탄이 아니라 탄식해야 할 것입니다. 한 평생 부부싸움이 성립하지 않을 조건은 딱 두 가지입니다. 서로 싸울만한 거리 밖에 있었거나, 어느 한 쪽이 늘 죽어지냈거나. 후자의 경우, 가부장적 우리사회에서라면 당연히 여성 배우자 쪽일 것입니다. 둘 다 부부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감탄과 존경을 보내는 일이 어찌 난센스가 아니겠습니까.

 

자아를 버리지 않는, 그러니까 봉헌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닙니다. 문제는 그 봉헌의 쌍방향성 여부입니다. 쌍방향성이 확보되어야 ‘타자성의 긍정과 자기 상실의 긍정이라는 이중긍정’(593쪽)이 가능합니다. 나를 버려 너를 살리는 행위가 마주 이루어짐으로써 자타와 생사의 모순이 공존의 역설로 달여지는 기적이 일어납니다. 일방적 희생의 자기해체도, 일방적 수탈의 자기구축도 세상을 죽음으로 몰아넣습니다. 주는 사랑이 희생이 아니고 받는 사랑이 수탈이 아닐 때 비로소 이중긍정의 실체가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런 식으로 말하면 지금 우리사회는 이중부정의 힘에 맹렬하게 이끌리고 있습니다. 헤게모니블록에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타자성의 부정, 자기상실의 부정 말입니다. 극소수 헤게모니블록은 파렴치한 자기구축을 위해 절대다수의 타자성을 잔혹하게 부정합니다. 그 파렴치와 잔혹은 4월 16일 이후 전방위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놀라운 것은 드러날수록 파렴치와 잔혹이 더해간다는 사실입니다. 대체 누가 이 상황을 만들었을까요. 대체 어찌 해야 아름다운 둘이 될까요. 분노가 쌓이는 이상으로 두려움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