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처를 외면하지 않지만 그 상처를 더 깊이 파고들어보라고 말하지도 않는다.(564쪽)

 

상처를 외면하고 쓰는 시는 시가 아닙니다. 그 시 아닌 시를 읽고 치유로 나아간다 말하는 경우 또한 치유가 아닙니다. 상처를 더 깊이 파고들어 쓰는 시는 어떠할까요? 더 깊은 시로서 더 깊은 치유의 지도地圖가 될까요? 과연 그럴까요? 아닙니다, 물론.

 

상처를 더 깊이 파고든다는 것은 대체 어떻게 한다는 것일까요? 더 아파하고 더 절망한다는 것일까요? 그러면 여태까지 덜 아프고 덜 절망하고 있었다는 것인가요? 그런 정도 차이가 존재할까요? 그런 사실을 타인이 알 수 있기는 할까요? 아닙니다, 물론.

 

말을 조금 바꾸어보겠습니다. 그 상처보다 더 깊은 상처로 파고든다고 하면 어떨까요? 그러면 여태까지 별 것 아닌 상처 때문에 엄살을 부리고 있었다는 것인가요? 그런 정도 차이가 존재할까요? 그런 사실을 타인이 알 수 있기는 할까요? 아닙니다, 물론.

 

 

상처의 진실은 객관적 사실로 묶을 수 없습니다. 아이 둘 잃은 상처는 하나 잃은 상처의 두 배입니까. 둘 잃은 부모에게는 아이가 더 있고 하나 잃은 부모에게는 그 아이가 외동아이였다면 어떤가요. 상처의 더 깊은 곳, 더 깊은 상처란 없는 것이 아닐까요.

 

시가 되어 나올 상처라면 상처의 깊고 얕음은 따질 일 아닙니다. 그 상처 그 자체가 있는 그대로 옴팡진 진실입니다. 설혹 더 깊은 상처가 더 깊은 깨달음 주어 위대한 삶으로 인도한다손 치더라도, 과연 누구에게 그 길을 권할 안목과 자격이 있을까요.

 

인간의 인간다움은 깊은 곳에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아니 어쩌면 그런 깊은 곳은 당최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붓다와 예수의 삶은 깊은 것이 아니라 넓은 것이지 싶습니다.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삶도 팔 벌려 유민이네를 껴안는 것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