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

 

복잡하거나 어려운 건 없습니다. 손가락은 지시가 아니라 암시입니다.

-「문제작」중에서(강조는 시인-시인은 이민하(재인용자))

 

·······‘지시’는 대상을 전제하고 그것으로 환원되지만, ‘암시’는 무한대의 대상으로 열려 있다. 손가락이 지시하는 것을 찾지 말고 손가락 자체가 암시하는 바를 음미하라는 뜻으로 읽힌다.·······시인의 당부가 이어진다. “손가락 끝을 보지 말고 그걸 둘러싼 허공을 보세요.”)(372-373쪽)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가르침으로 견지망월見指忘月이 있습니다. 손가락을 쳐다보느라 정작 가리키는 달은 잊고 있는 어리석음에 대한 경책입니다. 대승경전 능엄경楞嚴經에 나옵니다. 아마 시인도 저자도 이 가르침에 서려 있는 남성가부장적 일극집중구조를 읽어내어 해체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손가락 보지 말고 달 봐라, 도 역시 아니올시다, 란 것이지요. 진실은 손가락을 둘러싼 허공, 그 허공에 펼쳐진 무한한 스펙트럼의 어스름에 있지 휘영청 밝은 빛에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하여 ‘지시’를 물리치고 ‘암시’를 세운 것입니다.

 

삶의 진실은 빛에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그러면 삶의 진실이 어둠에는 없다는 것입니까? 아닙니다. 어둠 또한 삶의 소중한 일부, 곧 진실의 한 면입니다. 그 어둠을 직시하지 않으면 진실은 절반 이하로 한정됩니다. 절반 이하로 한정된 진실은 진실이 아닙니다. 빛과 어둠이 만나 무량무수 솟아오르는 어스름의 시뮬라크르, 그 점멸하는 사건 속에 진실의 모든 것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너무 밝으면 어둠이 안 보인다.”(302쪽)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사회는 어떠합니까? 밝은 달은 있고, 그것을 가리키는 스승은 있는 것입니까? 그런데 우리가 어리석어 손가락만 쳐다보고 있는 것입니까? 혹 그 달이 가짜는 아니고 스승도 사이비는 아닌 것입니까? 우리가 그토록 겁내는 어둠이 실제로는 가짜 달의 그림자는 아닙니까? 그 어둠 뒤에 숨은 자가 바로 빛의 스승은 아닙니까? 그래서 죽기 살기로 감추려는 것은 아닙니까? 정녕 진실을 알고자 하면 손가락 끝을 둘러싼 허공, 그러니까 빛과 어둠이 맞물리는 특이점을 보아야 합니다. “복잡하거나 어려운 건 없습니다.” 우리가 암시받은바 모든 것을 죄다 드러내어 “일치하지 않는 데서 사용”(위 시 8의 일부)함으로써 무한한 스펙트럼의 어스름을 만들어내는 진짜 ‘소통’을 하면 됩니다. 어둠에 쫄지 마세요. 빛에 속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