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명하고 충실하고 무구한 시, 그러니까 세계라는 사건의 공간을 위와 아래와 뒤의 도움 없이 ‘있는 그대로’ 감각하는 시라서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낯선 것이다.(355쪽)·······난해하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그만큼 협소하기 때문이다.·······혼란스럽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아가 그만큼 진부하기 때문이다.(367쪽)

 

‘있는 그대로’ 감각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말이야 그야말로 ‘있는 그대로’지만 그 ‘있는 그대로’를 투명하게, 충실하게, 무구하게 느낄 수 없도록 이미 조작된 감각기를 지닌 우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그런 ‘있는 그대로’의 감각이 난해하고 혼란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조작된 우리의 감각이 난해하게, 혼란스럽게 협소하고 진부한 것입니다.

 

협소함-숙명으로 지니는 공포·탐욕·무지(어리석음) 때문에 인간은 광활함spaciousness의 땅으로 나아가지 못 합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움켜쥐고 있는 알량한 안정·재물·이념 따위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 그 알량한 토대에서 해석하고 판단하고 비난합니다. 그럴수록 불투명하게, 허술하게, 영악하게 세계를 파악합니다. 그럴수록 세계는 접히고 접혀 ‘있는 그대로’ 진면목을 드러내지 못합니다.

 

진부함-협소함을 유지·온존하는 과정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이 있습니다. 하나는 자기 경계의 공고화입니다. 이는 공시적synchronic 진부함입니다. 자기 경계를 허물지 않으니 자기 밖의 내용이 들어설 수 없습니다. 다른 하나는 자기 원칙의 영속화입니다. 이는 통시적diachronic 진부함입니다. 자기 원칙을 바꾸지 않으니 새로운 내용이 들어설 수 없습니다. 어디를 둘러봐도 아무리 기다려도 ‘있는 그대로’ 경이로움이 들이닥칠 가능성은 없습니다.

 

 

옆으로, 옆으로 광활하게 번져갈 때만이 경이로운 세계, 그 모습 ‘있는 그대로’를 반갑고도 깔끔한 느낌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광화문과 청운동에 그런 세계가 바야흐로 열리고 있지 않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