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아의 망집에서 벗어날 때 현시되는 세계(-인용자)·······실상·······, 인간과 사물의 경계를 넘나드는 어떤 비()인칭적인(비인간적인) 에너지(-인용자)·······기운·······을 포착하(-인용자)·······“언제나 삶을, 그것을 가두어놓는 것으로부터 해방시키거나 혹은 그것을 불확실한 투쟁으로 이끌어내는”·······시인은 이미 존재하는 인간’·······보다는 장차 도래할 인간을 향해 말·······합니다.(282)

 

상식과 달리, 사람 뇌에는 만족이라는 개념의 방이 없습니다. 뇌의 개념 방에서 가장 큰 것은 다름 아닌 경이감驚異感입니다. 경이감은 삶의 불확실성, 그러니까 비결정성과 맞닥뜨릴 때 일어나는 마음의 파동입니다.

 

불확실성 또는 비결정성은 삶의 본령입니다. 경이감은, 그러므로 삶을 삶답게 살게 하는 momentum입니다. 경이감의 마비를 강제하는 그 무엇이라도, 가령 자아·인간적임·서정·동일성·진리 따위, 죄다 투쟁 대상입니다. 그런 데 갇힌 경우라면 해방의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해방과 투쟁은 뒷문이 활짝 열려 있으니 결국 같은 주파수를 지닙니다.

 

알 수 없는 진실의 난장에서 낯선 것들과 뒤엉키면서 기약 없는 길을 떠날 때 비로소 기운氣運은 생동生動하며 실상實相은 여여如如합니다. 무상無常이며 무아無我입니다. 무상과 무아가 교직을 이루며 통, 그러니까 아픔을 빚어냅니다. 이 아픔의 증상을 참혹하고 아름답게 그려낸 것이 시입니다. 시는 아픔을 통해서 장차 도래할 인간에게 바쳐진 경이감 어린 헌사입니다.

 

 

지금-여기 대한민국 살아 있는 자들 앞에 이백쉰 서로 다른 꽃다운 죽음의 극한 통증이 있습니다. 그 아픔의 증상을 참혹하고 아름답게 그려내느냐, 여부에 따라 이 나라는 흥망의 갈림길에 설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시인, 그것도 참 시인이 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망집으로서 자아와 탐욕으로서 인간종자를 무너뜨려야 합니다. 장차 도래할 인간을 피눈물로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