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하찮은 것이다. 시가 위대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시를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시는 하찮은 것이지만 다른 대단한 것들이 하지 못하는 일을 한다. 주체들이 앓고 있는 증상들을 언어라는 가장 기초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하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시는 가장 근본주의적으로 하찮고 가장 진실하게 사소한 그 무엇이다. 도착적이고 반(反)고백적이며 환상적이고 비(非)계몽적인 이들의 시는 불투명한 우리 시대가 낳은 가장 투명한 증상들이다. 물론 진실은 언제나 건강한 자들이 아니라 앓는 자들의 편에 있다.(230쪽)

 

특별한 사상가 이반 일리히가 말했습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가 지구를 구할 방법을 가르쳐 드린다고 하니까 이렇게들 모이셨군요. 그럼 이제부터 지구와 인류를 구할 영웅이 되고 싶은 꼬마 친구들에게 스파이더맨이나 배트맨보다 더 쉽게 영웅이 되는 길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지구를 구할 방법은 딱 세 가지. 바로 자전거와 와 도서관이지요. 엄마가 자동차를 타고 대형 할인점에 가려고 하면, 자전거를 타고 동네 시장으로 가라고 일러 주세요. 나보다 잘 싸우는 친구가 개똥을 밟고 미끄러졌을 때, 배꼽을 잡고 웃지 못했다면 집에 가서 몰래 시를 쓰세요. 슬픔도 시로 쓰세요. 화나는 일도 시로 쓰고요. 시 쓰는 사람은 마음이 커질 테고, 시를 읽는 사람은 잊고 있던 소중한 것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도서관은 우리 모두가 평등하게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최고의 배움터입니다. 도서관은 학교처럼 시험으로 점수를 매기지 않으며, 이 책 읽어라 저 책 읽어라 강요하지도 않습니다."

 

이쯤 되면 시는 훌륭한 것, 위대한 것이 아닐까요? 지구를 구하는 삼총사 가운데 하난데!^^ 어째서 시는 하찮고 사소하다 했을까요? 심지어 시를 위대하다고 하는 사람은 시를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라고까지 하니, 이거야 원!

 

여기에는 그만한 까닭이 있습니다. 시는 언어라는 가장 기초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표현하는 것이 앓고 있는 증상들입니다. 형식도 내용도 그야말로 대수롭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그러나 반전이 있습니다. 이 하찮은 시가 다른 대단한 것들이 하지 못하는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 증상의 표현을 통해 언제나 건강한 자들이 아니라 앓는 자들의 편에 있는 진실을 드러내줍니다. 진실의 드러냄이야말로 훌륭한 것, 위대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결국 돌아왔습니다. 이 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의 명제가 떠오릅니다.

 

“(통속적) 위대함은 과대평가된 사소함이다. (근본주의적) 사소함은 과소평가된 위대함이다.”

 

 

이 하찮은 자의 사소한 아침에도 위대한 감동이 있습니다. 권력이 바다에 빠뜨린 지 8일째인 지난 4월 23일 다른 세계의 생명으로 돌아온 수경이의 얼굴을 마주합니다. 수경이의 언니가 동생에게 편지를 씁니다. 이 대목에 이르러 기어이 눈물을 흘리고야 말았습니다.

 

“아직 구조되지 못한 친구들도 빨리 사랑하는 부모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수경이가 도와줘.”

 

아픈 사람만이 드러내주는 투명한 증상, 그 도저함이여! 통속적 대수로움, 저 권력이 무참히 짓밟은 이 하찮은, 사소한 사람들의 편에 있는 진실을 위해, 하찮고 사소한 사람들아, 하찮고 사소한 시, 이 시를 가슴 터지도록 껴안아 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8-14 1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8-14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