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자는 고통이 인간을 “가장 윤리적인 상태”로 데려간다고 말한다. 고통을 겪으면서 인간은 “나의 자족적 세계”가 파괴되는 사태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인간이 본래 “타인과 상호주관적인 관계” 속에서 살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해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논리로 필자는 고통의 한 양태인 ‘우울증’이야말로 윤리적인 것이라는 언명으로 나아간다.·······“이제, 소설은 우울증적 주체에 관한 서사가 되어야 한다.”·······“그대여 세상 밖으로 나가지 말라. (···) 그대는 우울증의 상태로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줄 타며 살아가야만 한다.”·······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울증’이라는 ‘상태’가 갖는 윤리적 의의를 부정하지 않지만 “그대여 세상 밖으로 나가지 말라”가 ‘정언명령’의 자리로까지 승격되는 것은 어쩐지 네거티브하다는 느낌이다.·······윤리학은 투쟁의 형식이기를 그만두는 순간 투쟁하지 않기 위한 변명이 되고 만다.(175-177쪽. 여기에 나오는 ‘필자’는 평론가 허윤진을 가리킴.)

 

몰락의 에티카는 문학이 증상이라는 것, 그러니까 증상으로서 문학을 지론으로 삼습니다. 허윤진에 관한 논의는 타당성 여부 차원에서 진행한 게 아닙니다. 소극적이다, 곧 ‘네거티브하다’는 지적이 포인트입니다. ‘네거티브’한 ‘정언명령’이 ‘투쟁의 형식’으로는 아무래도 약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취지에 맞게 바꾼다면 아마도 ‘그대여 세상 경계에 서라’ 쯤이 될 것입니다. 조금 더 친절하게 한 마디 보태면 ‘그대여 작심하고 세상 경계에 서라’ 쯤이 될 것입니다. 조금 더 과장되게 수다를 떨면 ‘그대여 두 주먹 불끈 쥐고 세상 경계에 서라’ 쯤이 될 것입니다.^^

 

우울증에 대해 이렇게(까지) 말해도 될까요? 되고말고요! 이 점을 의학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인간에게 가장 근본적인, 아, 이 대목을 쓰는데 허윤진 비평집 「5시 57분」이 도착했습니다. <춤추는 우울증>을 읽고 이어서 쓰겠습니다.

 

 

<춤추는 우울증>을 읽어보니 전체 문맥 상 우울증 그 자체가 먼저 포착되어 논의의, 또는 주의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허윤진이 정조준하고 있는 것은 세상을 휘감은 조증mania, 그러니까 집단적 광기mania입니다.

 

조증은 매혹적인 별명들을 거느리고 세상을 지배합니다. 행복, 웰 빙, 성공, 대박, 상위 1%, 뜬 사람(celebrity), 청담동, 힐링, 긍정의 힘, 무통無痛, 명품·······이들에게 모든 것은 한 방향으로 서 있습니다. 상대방이 없으니 소통도 없습니다. 시간의 통로에서 빚어지는 성찰이 없으니 변화도 없습니다. 자족 부동의 세상에 윤리란 당치 않습니다. 윤리가 당치 않으니 인간 또한 당치 않습니다. 인간부재의 세상에 조증사회증후군(maniac society syndrome)이 중심으로 좌정하고 있습니다.

 

조증사회증후군에 점령된 세상은 인간답지 못한 세상입니다. 인간인 한 고통스럽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인 한, 아니 인간이려면 세상의 경계로 가야만 합니다. 경계는 고통이 살아 숨 쉬는 시공입니다. 경계는 조증을 병으로 인정하지 않는 중심과 다릅니다. 우울증을 병으로 인정하고, 그 고통을 받아 안은 사람들이 삽니다. 모순, 아니 역설의 시공인 경계는 우울증적 주체의 운명적 거처입니다.

 

경계에 서는 것 자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울증 상태를 알아차리고 기꺼이 견디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요한 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허윤진은 퇴로를 차단하는 어법을 씁니다. 세상 밖으로 나가지 말라, 그러니까 도망치지 말라, 고 금을 긋는 것입니다. 몰락의 에티카가 ‘네거티브하다’고 한 말의 함축이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소극적이다, 약하다, 의 그것이라면, 여기서 전체 문맥을 살펴 재고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허윤진의 어법이 네거티브하다고 해서 그다지 약해 보이지 않습니다. 몰락의 에티카가 ‘포지티브’를 권하지만 그다지 강해보이지 않습니다. 별 차이가 없어 보이는 까닭은 둘 다 우울증 자체에 대해 핍진한 이야기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의학이나 정신분석의 말자리가 아니라 하더라도 이 부분은 적이 아쉬운 바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더 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