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자는 존재론적으로 확실하고 인식론적으로 모호하다.·······타인의 고통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의 고통은 윤리적이다.·······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함부로 말하는 조급과 허영이 세상을 불행에 빠뜨린다·······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가히 해부학적이라고 해야 할 시선으로 파고들지만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고 말하거나 아예 말하지 않는·······유물론적 타자론·······(47-51쪽)

 

세월호 국정조사 자리에서 대통령비서실장이란 자가 “유족보다 더 가슴 아프다”며 허풍떨자 어느 여성 국회의원이 “거짓말하지 말라”고 일갈하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말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함부로 말하는 조급과 허영이 세상을 불행에 빠뜨리는 경우의 전형입니다. 타인의 고통에 대한 언급은 아무리 천천히 해도 언제나 조급이며, 아무리 알뜰히 해도 언제나 허영입니다. 

 

 

마음병을 앓는 사람들의 고통과 마주할 때 정직한 의자醫者가 처음 느끼는 감정은 “막막함”입니다. 저 고통에 가 닿을 수 없구나, 가 가장 먼저 들이닥칩니다. 곧 이어, 건넬 말에 비해 고통이 너무 크구나, 가 몰려옵니다. 숨이 턱턱 막히고 땀을 뻘뻘 흘리는 정신 줄을 놓지 않고 하염없이 듣다 보면 예기치 않은 어떤 순간 홀연히 작은 틈 하나를 볼 수 있습니다. 그 틈에 깃들고서야 인연 지어갈 길을 보는 것입니다.

 

상담을 하는 중에 모순된 진실을 도처에서 만납니다. 어느 때에는 말이 턱없이 무디고 모자라는구나, 하다가, 또 어느 때에는 말이 지나치게 번다하고 장황하구나, 합니다. 앞의 경우는 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느낌입니다. 뒤의 경우는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느낌입니다. 이 뒤집어짐에서 오는 자책으로 격한 우울감에 빠져들곤 합니다. 마음치유의 길을 걷는 자에게 문학과 명상이 필요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마음치유자의 길을 걷는 자는 시를, 소설을, 비평을 다만 읽지 않습니다. 살과 뼈를 발라내며 읽습니다. 마음치유의 길을 걷는 자는 그저 웰 빙으로 소비하는 고요를 누리지 않습니다. 침묵을 창조하는 고요에 깃듭니다. '조급과 허영으로 세상을 불행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 해부와 침묵을 가로지르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