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형철이라는 이름은 김선우라는 이름만 제게 넘겨주고 홀연히 사라진 쪽지였습니다. 제법 세월이 흐른 뒤 다시 홀연히 그 이름은 제 앞에 나타났습니다. 누군가 <몰락의 에티카>를 들려주었기 때문입니다. 첫 문장에 대한 선명한 기억.

 

"나는 늘 몰락한 자들에게 매료되곤 했다."(5쪽)

 

평론가의 평론집 첫 문장이 '나'로 시작한다! 저는 다음 문장으로 눈을 옮기지 못 하고 한 동안 머물러 있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뭐랄까, 類 가 다른 글, 類가 다른 사람의 냄새를 맡았을 때 느껴지는 어떤 아뜩함 때문이었습니다. 이 냄새에 주의를 기울이는 데는 제 나름의 곡절이 있습니다.

 

저는 마음치유를 의료실천의 근간으로 삼고 있는 변방의 한의사입니다. 제가 한의사로서 마음치유의 험한(!) 길을 걷도록 이끈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현대 서구의학을 배운 양의사들이 마음'치료'를 하면서 1인칭 어법을 쓰지 않는다, 그러니까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바로 그 것입니다. 미상불 자신의 의학이 엄밀과학이라는 자부심에 터한 일종의 의학철학이라거나 의료윤리로 믿고 있음에 틀림 없습니다. 하여 그 자부심 어린 실천을 '치료'라고 하며 자신 이외의 사람들에게는 허락하지 않습니다. 저는 단호히 이에 반대합니다. 

 

의사가 1인칭 어법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 제3자적 객관성이 깨지고 이성과 합리에 터한 의학적 지평이 흔들리기 때문에 금한다고 하는 논리는 저들의 유구한 일극적 이데올로기아의 산물입니다. 의사는 주체이며 환자는 대상입니다. 환자는 인간 아닌 병으로 취급될 뿐입니다. 환자는 의사의 욕망 서사의 일부일 따름입니다. 현대 서구의학이 아무리 빼어난 미사여구를 들이대도 결국 그것은 수탈체계입니다.  

 

 

저는 '환우'와 상담할 때 1인칭 어법을 씁니다. 이성과 합리가 무너지는 것을 용인합니다. 의사 일극구조가 깨져나가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병보다 큰 전체로서 환우를 인정합니다. 의사지만 저 역시 결핍을 지닌 존재라는 엄연한 사실을 껴안습니다. 저와 환우 사이에서 양극적 베리타스를 구축하려 애씁니다. 제가 신형철의 첫 문장에서 맡은 냄새의 본령은 바로 그런 것입니다. 7백 쪽이 넘는 방대한 이야기를 이끄는 동안 그의 마음결을 관류하는 지향은 659쪽에 이르러 이렇게 나타납니다.

 

"사랑의 서사는 ‘주체와 타자’의 층위에서, 욕망의 서사는 ‘주체와 대상’의 층위에서 발생한다. 욕망은 타자를 대상으로 축소한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상(부분)을 위해서 타자(전체)를 파괴하는 파국의 서사가 가능한 것이다. 욕망이 반성 없는 흐름이라면 사랑은 숭고한 단절이다. 내가 원하는 그것을 네가 갖고 있지 않을 때, 나의 결핍을 네가 채워줄 수 없다는 것을 알았을 때, 사랑은 외려 그 결핍을 떠안는다. 두 결핍의 주체가 각자의 결핍을 서로 맞바꾸는 것이 사랑일 수 있다. 사랑은 부분을 위해 전체를 파괴하지 않고 부분을 채워 전체를 만든다. 욕망은 환유이고 사랑은 은유라는 명제의 뜻이 거기에 있다. 욕망은 가까운 ‘부분’을 향해 계속 자리를 옮기지만 사랑은 유사한 ‘전체’끼리 자리를 바꾸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순간에 욕망은‘이것이 아니다’라고 말하지만 사랑은 ‘나는 너다’라고 말한다."

 

그렇습니다. 신형철의 저 첫 문장이 쓰인 뒤 이 땅의 모든 평론은 딱 두 종류로 나뉠 것만 같은 예감이 듭니다. 신형철의 평론, 그리고 그 밖의 평론. 이 예감이 호들갑에 터한 것이라면 그것은 오직 제 삶과의 어떤 포개짐 때문이니 오롯이 제가 감당하겠습니다. 적어도 저는 그 첫 문장 뒤 모든 문장을 두 시각으로 읽었습니다. 일반 독자의 눈, 그리고 마음치유 하는 사람의 눈. 후자가 느낀 감동은 정녕 각별한 것이었습니다. 느리게 그 이야기를 계속해볼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