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저녁 7시 20분 쯤. 한의원 문을 닫고 이문재의 「지금 여기가 맨 앞 」을 읽고 있었습니다. 제자인 드라마작가 백운철이 <정도전> 후속 작품 <징비록>을 쓰게 됐다며 “영감을 주소서.” 트윗을 날렸기에 만나기로 약속해놓고 기다리던 참이었습니다. 누군가 쿵쿵쿵 한의원 문을 두드렸습니다. 느낌이 예사롭지 않아 얼른 문을 열었습니다. 가슴 두근거림을 호소하며 두어 차례 침 맞았던 50대 초반 여인이 어둡고 다급한 표정으로 서 있었습니다. 안으로 맞아들인 뒤 침 치료를 위해 잠시 누워 기다리는 동안 고요히 그 옆에 앉았습니다.

 

무엇에 홀린 듯 여인이 “선생님, 저 말해야겠어요.” 하더니 문맥도 없이 대중도 없이 자신이 살아온 이야기를 폭포처럼 쏟아내기 시작합니다. 들을수록 답답하고 대책 없는 사연들이 도무지 이로가 잡히지 않은 채 제각각 '미친년 널뛰듯' 펄떡거립니다. 어느 순간 여인은 꺽꺽 울음을 토해냅니다. 두 주먹을 불끈 쥡니다. 가슴을 두드리다 못해 쥐어뜯습니다. 사방팔방 팔을 휘두릅니다. 발버둥을 칩니다. 격심한 몸부림이 쓰디쓴 체취를 낭자하게 흩뿌립니다.

 

 

그 동안 수없이 많은 사람의 아픈 말을 들었습니다. 눈물을 보았습니다. 손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 여인이 말을 하는 동안, 이 여인이 우는 동안, 저는 차마 그 손을 잡을 수 없었습니다. 손을 잡으면 “그만 하라.”는 메시지가 될 수밖에 없는 지경이었기 때문입니다. 그저 못 박힌 듯 꼼짝 않고 그 광경에 주의·집중할 따름이었습니다. 그러는 30분 남짓한 시간 동안 저는 칼 날 위에 선 만신이었습니다.

 

드디어 긴 한숨과 함께 날뛰던 언어와 몸짓과 울음이 한 목에 털썩 주저앉았습니다. 여인은 한참을 죽은 듯 숨소리조차 안 내고 있더니 나지막이 입을 열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저는 무어라 달리 할 말을 찾지 못 했습니다. 이해도 공감도 접근도 해결도 절연된 무력한 타인임이 분명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사실 바로 이제-여기가 상담자의 시공입니다. 저는 여인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제 말을 듣고 황감해 하는 여인의 젖은 가슴에 딱 한 마디를 꽃처럼 놓아주었습니다. “말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