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윤동주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본다.

 

 

 

* * *

 

 

 

평론가 신형철은 이 시를 읽으며 서정시의 윤리학을 이야기하는 글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서정은 언제 아름다움에 도달하는가. 인식론적으로 혹은 윤리학적으로 겸허할 때다. 타자를 안다고 말하지 않고 타자의 고통을 느낄 수 있다고 자신하지 않고, 타자와의 만남을 섣불리 도모하지 않는 시가 그렇지 않은 시보다 아름다움에 도달할 가능성이 더 높다. 서정시는 가장 왜소할 때 가장 거대하고, 가장 무력할 때 가장 위대하다. 우리는 그럴 때 ‘서정적으로 올바른(poetically correct)'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서정적으로 올바른 시들은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안다. 그곳은 ‘그가 누웠던 자리’다.”(「몰락의 에티카」512쪽)

 

서정시에 대한 이러한 이야기는 의학에도 그대로 통합니다. 하지만 현대의학은 겸허하기는커녕 도리어 오만합니다. 기계 진단만으로 환자를 안다고 말합니다. 환자의 고통을 느낄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환자와의 만남을 섣불리 도모합니다. 현대의학은 스스로 가장 거대하고 위대하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은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알지 못 합니다.

 

현대의학은 왜 이런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자본주의의 핵심부에 있다는 외부조건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은 근본적으로 불가피한 면이 있습니다. 서구사상의 기저에 깔려 있는 형식논리, 거기에 터 잡은 합리적 인식론이 현대의학 이론과 의료 실천의 근간이기 때문입니다. 신형철의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겠습니다.

 

아도르노의 말이다. “합리적 인식은 고통과 거리가 멀다. 그것은 고통을 총괄하여 규정하고 그것을 완화하는 수단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고통을 체험으로써 나타낼 수는 없다. 합리적 인식이 볼 때 고통은 비합리적인 것이다. 고통이 개념화되면 그것은 아무런 말도 할 수 없게 되고 일관성도 없어질 것이다.” 요컨대 합리적 인식은 고통을 이해할 수도 표현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통은 있다. 그것은 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의사의 매뉴얼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인의 시에 있다.”(앞의 책 508-509쪽)

 

합리적 인식은 왜 그토록 고통과 먼 거리에 있을까요? 고통은 왜 합리적 인식으로는 포착되지 않을까요? 고통은 죽음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힘과 삶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맞부딪는 곳에서 일어나는 아프고 힘들고 불편한 소요騷擾입니다. 고통은 그러므로 역설입니다. 역설이기에 일방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할 문제가 아닙니다. 서구의학은 이 진실을 알아차리지 못 했습니다. 고통을 무조건 없애야 할 무엇으로 판단하여 이론과 실천을 온통 그 쪽으로만 몰아갔습니다. 결국 현대 의사의 매뉴얼에는 고통의 진실이 담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시인의 시에 고통이 있다고 한 신형철의 말은 과연 옳습니다. 시는 언어의 요체입니다. 언어의 요체는 은유입니다. 은유의 요체는 역설입니다. 역설이 아니면 시가 아닙니다. 시가 아니면 고통을 담을 수 없습니다. 시인의 마음이 아니면 고통을 마주할 수 없습니다. 신형철의 정확한 표현 하나를 더 가져오겠습니다.

 

시인은 병 없이 앓는 자다.”(앞의 책 509쪽)

 

그렇습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자타가 공인하는 고통의 치료자인 의자醫者는 근본적으로 시인의 마음을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시인의 마음으로 진단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시인의 언어로, 그러니까 역설로 빚어내는 새로운 의학·의료체계를 세워야 합니다. 결국 여기서도 답은 인문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