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을 부르는 소녀 바리 ㅣ 단비 청소년 문학 42.195 5
김선우 지음, 양세은 그림 / 단비 / 2014년 5월
평점 :
8. 무장승의 기다림-“.......무장승이 약수弱水 바닷가에서 가슴을 쾅쾅 두드리자 발밑이 쿠웅쿠웅 울리며 천지가 진동했다. 계속 수평선을 주시하던 그가 안타까운 듯 한쪽 발을 쿵, 구르자 서편 하늘을 빼곡하게 덮으며 검은 독수리 떼와 황금 빛 박쥐 떼가 몰려와 명령을 기다리듯 그의 머리 위에서 맴돌았다.
“휘이, 돌아들 가! 오늘 내 심사가 잠시 어지러운 것뿐이다.”
무장승의 말에 독수리 떼와 박쥐 떼가 순식간에 왔던 곳으로 다시 날아갔다.......수평선을 바라보며 무장승이 고개를 가로저었다.......
무장승이 수평선 저편을 바라보다가 털썩 주저앉았다. 거대한 그림자가 주저앉자 갯가에 사는 생물들이 썰물 빠지듯 황급히 달아났다........
무장승의 깊은 한숨 소리가 약수 변을 괴이한 적막으로 뒤덮고 있었다.”(120-122쪽)
무장승은 바리가 가져가야 할 약수藥水를 지키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그는 서천서역국에서 바리가 만날 마지막, 아니 오직 한 사람입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그는 하늘이 점지한 바리의 지아비이기도 합니다. 그를 만나 사랑으로 치유를 완성해야 여정이 끝나므로 무장승과 바리의 인연은 가히 화룡점정에 해당하는 중요성을 지닙니다. 청소년을 독자로 삼아 고쳐 쓰면서 김선우는 이 대목에 극적인 분위기가 더 번지도록 공을 들였습니다. 지어미를 기다리는 무장승의 마음이 얼마나 간절한지, 그럼에도 부질없음에 대한 절망감이 얼마나 깊은지, 그 역설의 상황을 절절히 그려내고 있습니다.
문득 이병률의 시 <화분>이 떠오릅니다.
그러기야 하겠습니까마는
약속한 그대가 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날을 잊었거나 심한 눈비로 길이 막히어
영 어긋났으면 하는 마음이 굴뚝 같습니다
봄날이 이렇습니다, 어지럽습니다
천지사방 마음 날리느라
봄날이 나비처럼 가볍습니다
그래도 먼저 손 내민 약속인지라
문단속에 잘 씻고 나가보지만
한 한 시간 동안 돌처럼 앉아 있다 돌아온다면
여한이 없겠다 싶은 날, 그런 날
제물처럼 놓였다가 재처럼 내려앉으리라
햇살에 목숨을 내놓습니다
부디 만나지 않고도 살 수 있게
오지 말고 거기 계십시오
무장승은 잘못을 저질러 하늘에서 쫓겨 내려왔으니 죄 값을 치루고 다시 하늘로 올라가야 할 존재입니다. 지어미를 만나 아들 셋을 낳으면 삼십년으로 탕감된다, 하니 얼마나 간절한 심정일 것입니까. 그러나 팔만사천 지옥을 건너고 날짐승의 깃털도 가라앉는 약수弱水까지 건널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싶으니 얼마나 절망적인 심정일 것입니까. 더군다나 바리를 만나 자신의 운명이 또 어찌 바뀔지 모르는 상태이므로 미상불 그 무의식은 모순으로 요동치고 있었을 것입니다. 김선우는 이 상황을 평범하되 역동적인 한 문장으로 정리합니다.
“무장승이 수평선 저편을 바라보다가 털썩 주저앉았다.”
정곡을 찔러 묘사할 말이 더는 없을 것입니다. 안타까움이 극에 달한 기다림의 끄트머리, 털썩.......그렇습니다, 털썩!

가만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에 잠깁니다. 나는 누구를, 무엇을 기다리다 이렇게 털썩 주저앉았던가. 돌이켜보니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날카롭고도 질긴 순간 하나 있었습니다. 떠나간 엄마를 애타게 기다리던 유년의 어느 날, 그 기억이 비수처럼 날아와 가슴에 꽂힙니다. 무장승에게 바리가 그렇듯, 제게 엄마가 그렇듯, 오늘 팽목 앞바다에서 기다리는 엄마에게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있는 아이가 그렇게, 털썩 주저앉은 기다림의 대상입니다. 무장승에게 바리는 기어이 올 것입니다. 제게 엄마는 기어이 오지 않았습니다. 팽목 앞바다의 엄마에게 아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