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을 부르는 소녀 바리 단비 청소년 문학 42.195 5
김선우 지음, 양세은 그림 / 단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 생명수를 찾아 떠나다-“.......거대한 유리산이 바리공주 앞을 가로막았다.......무서웠다. 공포가 몰려오자 옥함 속에서 울던 갓난아기의 울음소리가 메아리쳐 들려왔다. 그것이 자신의 울음소리란 걸 깨닫자 외면하고 싶었다. 바리공주가 손으로 두 귀를 막고 고개를 저었으나 아기울음소리는 점점 더 커져갔다.......귀를 막았던 손으로 바리공주가 유리벽을 두드리며 아기와 함께 울었다.......숨을 고른 후 눈을 질끈 감은 바리공주가 갓난아기가 울고 있는 유리벽을 향해 정면으로 내달리기 시작했다.”(101-102쪽)

 

고난의 여정, 그 첫 번째 난관과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유리산이 앞을 가로막습니다. 유리산은 속이 훤히 들여다보입니다. 비밀을 드러내어 알게 함으로써 공포를 불러일으킵니다. 바리의 공포는 버림받음에서 왔습니다. 갓난아기의 우주인 엄마가 사라진 시공에 찾아오는 검푸른 공포, 바로 그것입니다. 공포 뒤에 들이닥치는 눈물과 그 눈물에 대한 기억이 너무 아파서 바리는 한사코 외면하고, 부인하려 발버둥 칩니다. 그럴수록 아픔은 점점 더 폐부 깊숙이 파고들어옵니다. 급기야 바리의 영혼은 그 아픔에 꿰뚫립니다. 바리는 그 찰나 모든 아픔을 통째로 받아들입니다. 바리는 아픔을 품어 안고 함께 웁니다. 극진한 애도입니다. 마침내 바리는 공포, 그 두려움을 향해 정면으로 내달아 나아갑니다.

 

김선우가 정신치료 과정을 공부하고 이 과정을 풀어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물론 질문할 필요 또한 없습니다. 이치상 이런 과정을 거쳐 마음의 병이 치유된다는 진실을 유심히 톺아보면 그만입니다. 특정한 해석·평가를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 상처를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이고 일어서 나아가지 않으면 치유란 없다는 진실이 간단명료한 내러티브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마음의 아픔을 겪을 때 흔히 생각하는 방법은 피하기입니다. 주의를 다른 데로 돌리는 것, 감각을 마비시키는 것, 없다고 간주하는 것, 합리화하는 것 등 모두가 사실은 넓은 의미에서 피하기입니다. 이런 방법은 사소한 버릇에서부터 세련된 긍정주의 전략까지 모두 허망한 거짓입니다. 아픈 것은 실제로 아픈 것이고, 있는 것은 엄연히 있는 것이고, 알 수 없는 것은 끝까지 알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태에서 내 팔 뻗어 잡을 수 있는 곳, 내 발 뻗어 닿을 수 있는 곳을 홀딱 벗은 눈으로 마주볼 때만이 아픔을 뚫고 나아갈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바리의 자세이며, 바리의 삶입니다.

 

꾸르릉, 쩡! 날카로운 소리와 둔중한 소리가 함께 울리며 유리산이 산산조각 난다는 느낌과 함께 바리의 몸이 붕 떠올랐다가 쿵 떨어졌다. 유리산을 뚫고 나오자 햇살이 눈부시게 쏟아지는 쾌청한 하늘과 너른 풀밭이었다. 너는 누구냐? 너는 버려졌던 여자아지. 아니야. 나는 강한 바리다........나는 나를 믿으면 돼. 나는 나를 사랑하면 돼.......거기서부터 출발하는 거야.......바리공주가 푸른 하늘을 올려다보며 고개를 끄덕거렸다.”(102-103쪽)

 

유리산이 산산조각 났습니다. 거기서 출발하는 것입니다. 치유는 끝이 아닙니다. 건강한 삶의 새로운 출발점입니다. 참된 건강인은 자신의 경계를 넘어선 사람입니다. 자신의 경계를 넘어선 사람은 영성의 사람이며 열반의 사람입니다. 바리가 인도하는 길은 다름 아닌 영성과 열반의 길입니다.

 

사회 전체가 아픕니다. 혼자 행복하기 위해 은폐와 조작, 그리고 무시로 종횡무진 휘젓고 다니는 권력의 민낯을 보면서, 오늘 여기 우리 모두가 바리로서 살아야만 하는 날 선 진실을 자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살아야 한다, 아가. 살라고 태어난 목숨이다.”(10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