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우의 사물들 - 개정판
김선우 지음, 우창헌 그림 / 단비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 뜨거운 관심을 끌었던 드라마 <추적자>에서 한오그룹 서회장이 이런 말을 한다.


“입만 열면 옳은 소리 하는 놈들은 제 가족 굶긴다. 그게 죄다.


백홍석이 했음 직한 이런 말을 떠올려본다.


“제 가족만 배불리는 놈들은 정의와 선을 팔아먹는다. 그게 죄다.”


정확한 대칭을 이루는 말인가. 아니다. 앞 말은 현실(Sein)에 가깝다. 뒤 말은 당위(Sollen)에 가깝다. 앞 말은 나 같은 소인배의 폐부를 찌른다. 뒤 말은 ‘대인배’의 콧등을 간질일 뿐이다. 앞 말을 듣고 소인배는 고뇌에 빠진다. 뒤 말을 듣고 ‘대인배’는 정의와 선 개념 자체를 엎어버린다. 이 비대칭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세상은 탐욕과 공포와 무지로 바글거리게 된다.


나는 매주 일요일 아침 일어나 습관적으로 고민을 하나 한다. 면도할 것인가, 말 것인가. 면도하지 않으면 가족과 외식하든, 서점을 가든, 산에 가든....... 꺼칠한 맨얼굴 가지고 사적으로 하루를 보낸다는 뜻이다. 면도하면 ‘공적으로’ 외출한다는 뜻이다. 그 공적인 외출이 대개 내 이익과 무관한, 저 ‘대인배’들한테 죄인 취급당하고 현실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그런 것이기에 고민한다고 표현했다.


적어도 이 고민을 하는 순간, 내게는 위 두 말이 정확히 대칭을 이룬다. 서로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남들이 생각하는 만큼 한의사로서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 결코 아니기에 늘 가족에게 미안하다. 앞 말은 비수가 된다. 이 사회의 어둠과 아픔을 내 세대의 어떤 사람보다도 깊게 넓게 겪어 알고 있다. 뒤 말은 벼락이 된다.


이 대칭은 옹골차 보이고 두 “경계는 단호해 보이지만 의외로 쉽게 무너진다. (대칭이란,) 경계란 그런 것이다....... 경계를 넘어가는 것들의 뒷모습은 유쾌하고 도도하다.”(96쪽) 내가 순간마다 고민하면서도 유쾌하고 도도하게 경계를 넘어가는 것은 김선우의 중얼거림을 듣기 때문이다.


소라의 몸이면서 소라의 집이었던 이 소라 껍데기 하나는 또 다른 누군가의 집이었을 것이다....... 내 손바닥 위에서 여러 생명이 지나간다. 소라 껍데기는 사물인가. 우리가 흔히 ‘사물’이라고 딱딱하게 규정하는 사물들의 기원은 따스하다. 그 어느 것이나 이 별의 핏물이 스며있고 고동치는 따스한 맥박이 번져있다. 소라 껍데기를 들여다보다가 중얼거린다. 나는 누구의 집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인가.”(103쪽)


나는 누구의 집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인가. 이 중얼거림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아니 인간이면 해야 하는 준엄한 질문이다. 이 때, 누구 속에 제 가족 밖 다른 사람이 없다면 여느 짐승과 다를 바 없으니 구태여 질문이랄 것도 없다. 피 한 방울 나누지 않은 머나먼 타인을 품 안의 인연으로 받아들이는 문제 앞에서 나지막이 중얼거리는 것이다.


이 중얼거림에 실려 인간은 영성을 지닌 존재로 되어 간다. 자기 자신과 제 가족만을 위해 악착같이 사는 사람이 수직적 신성 속에 놓이는 것은 영성이 아니다. 자기 자신과 제 가족 너머, 존재의 드넓음(spaciousness)을 향해 무한히 삶의 지평을 열어가는 것이 참 영성이다. 이 영성에 실릴 때, 나 같은 소인배도 능히, 유쾌하고 도도하게 경계를 넘어갈 수 있다. 그렇게 경계를 넘어갈 때 비로소 천고의 진실 하나가 나의 오도송이 된다.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미끄러진다.”(10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