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우의 사물들 - 개정판
김선우 지음, 우창헌 그림 / 단비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못, 하면 내가 먼저 떠올리는 말은 “가슴에 못 박는다.”다. 내가 남의 가슴에 못 박은 적도 있을 테고, 남한테 못 박힌 적도 있을 테다. 사는 동안 이렇게 서로 가슴에 못을 박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오직 하나의 이유, 그렇다, 인간이기 때문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가슴에 못 박는 일 가운데 가장 빈번하고 신랄한 것은 가족 사이에서 일어난단다. 가족은 서로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하는 게 아니다, 라는 따스함 맞은편에 바로 이런 뼈아픈 진실이 있는 거다.

 

내 삶의 경험에서도 그러하다. 내 가슴에 가장 깊은 못을 박아 넣은 사람은 다름 아닌 어머니(들)와 아버지다. 물론 그 분들이 작정하고 특별한 언행을 지어낸 것이 아니다. 늘 하던 대로 한 것이다. 사실은 그래서 더욱 섬쩍지근하다.

 

엄동설한 깊은 밤, 아버지가 아홉 살짜리 나를 계모 눈앞에서 발가벗겨 내쫓은 적이 있었다. 나는 지금도 어떻게 아버지가 그리 행할 수 있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 한다. 그런데 그 때 아버지 표정과 언어는 전혀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

 

헤어진 지 30년 만에 벼락처럼 다시 만난 어머니가 나를 보자 던진 첫 마디 말이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지 아느냐?”였다. 나는 지금도 어떻게 어머니가 그리 말할 수 있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 한다. 어머니 표정과 언어 또한 너무도 심상했다.

 

부모가 가슴에 박아 넣은 못들은 한 동안 격심한 통증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염증을 유발해 신열에 뜨게 만들었다. 분노와 원망이 마음의 병을 확대재생산하였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럴 만했다. 그러나 그게 끝이라면 이 무슨 횡액이랴.

 

내가 지아비가 되고 아비가 되는 삶의 여울을 따라 내 상처와 병은 씻기고 바래지고 정화되어 갔다. 그것은 무슨 특별한 요법이나 교설에 힘입은 것이 아니다. 인간이기에, 인생에서,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일상적 공감과 수긍 덕분이었다.

 

어쩌겠는가. 상처 없는 사람이란 없는 것이다. 가슴을 대지 삼아 뿌리를 내리며 자라고 있는 상처들 앞에서 나는 종종 기꺼이 가슴을 열기도 한다. “어쩌겠는가. 못이 없는 집이란 없는 것이다. 수직의 벽을 대지 삼아 뿌리를 내리며 자라고 있는 못들 앞에서 나는 종종 즐겁게 벽이 되기도 한다.

 

그러면 가끔 알게 될 때가 있다. 상처가 오롯이 상처로 깊어지면 상처에서 꽃이 피기도 한다는 것을. 못의 뿌리가 닿는 자리들이 간질거리며 무엇인가 자꾸 피워내고 있다는 것을. 상처 난 살갗에 새살이 돋을 때처럼, 새순이 돋아나기 시작한 겨울나무 가지 끝처럼, 못 견디게 간질거리는 어떤 그리운 느낌이 못의 뿌리로부터 대지로 번져나가는 것을.

 

인간은 희한하게도 기쁨과 즐거움이 아니라 슬픔과 아픔을 통해서 깊은 인격으로 나아간다. 상처가 꽃을 피운다. 상처가 그리움을 번지게 한다. 병이 성숙을 이끈다. 병이 자유를 열어간다. 그러기 위해 “그 황홀한 통증의 뿌리들은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자기 무게의 수십 배가 넘는 사물들의 무게를 지탱한다.

 

못들은 힘이 세다.”(이상 인용 70쪽) 상처들은, 병들은 힘이 세다. 나는 그 힘으로 오늘 나를 살아낸다. 나는 그 힘으로 오늘 나를 찾는 환우를 함께 살아낸다. 그러니 어찌 상처 입은 사람이 상처 입은 사람을 치유한다고 말하지 아니 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러니 어찌 이 삶을  황홀하다 아니 할 수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