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우의 사물들 - 개정판
김선우 지음, 우창헌 그림 / 단비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상처가 많아질수록, 아름다운 것들이 쉽게 유린되는 것을 너무 많이 경험한 나이가 될수록 꽃을 꺾지 못한다. 꽃을 만지는 행위 하나에서도 윤리적 자아가 발동하게 된다는 것은 혹여 세계와 나의 타락의 방증은 아닐는지.”(43-44쪽)


읽다가 문득 멈추어 한참을 가슴으로 흘려보낸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울고 가장 나중까지 우는 숙명을 지닌 존재가 시인이라면 김선우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숙명이 아닌가. 김선우의 탱맑은 눈물 감각으로 말하자면 “타락” 이외에 다른 언어가 없으리라.


나는 醫者로서 김선우의 두 번째 문장을 이런 의학 버전으로 바꾼다.


꽃을 만지는 행위 하나에서도 치유적 자아가 발동하게 된다는 것은 혹여 세계와 나의 아픔의 방증은 아닐는지.


내가 풀이나 나무의 꽃, 잎, 열매, 대궁, 껍질, 뿌리를 직접 약으로 쓰는 한의사가 된 것은 김선우가 시인이 된 것과, 아마도, 같은 숙명일 것이다. 강원도 오대산 골짜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내게 생명감각을 일깨운 것은 거의 모두가 그런 풀이며 나무였다.


서울이란 초거대 도시로 스며들어 살아온 지 오십 년이지만 지금도 감도는 오감의 기억이 여전하다. 넓은 잎 사이 바람결에 반짝이며 얼굴을 내밀던 동그란 호박은 어린 내게 경이로움 자체였다. 연두와 초록을 오가는 호박 특유의 색감에 대한 설렘은 특히나 생생하다.


그뿐인가. 잿빛 채 걷히지 않은 봄 들판 걷다 보면 홀연히 쏘옥 고개를 내미는 할미꽃, 엄마 얼굴 같이 동그란 해당화 고운 향기, 장독대 맵짜한 냄새와 어울려 빛나던 자두나무 높은 곳의 선홍 자두, 끝 부분 세모 접어 잠자리채 만들던 쑥 대궁의 그 쌉쌀한 향기.......


이상하리만큼 내 관심과 감각 모두에서 풀과 나무들은 향 맑은 자극제다. 급기야 나는 내 자신이 풀과 나무의 본질을 지닌 사람 아닐까, 생각하기에 이른다. 풀과 나무가 내게는 동물보다 훨씬 더 따뜻한 마음을 가지게 하니 그럴 수밖에 없다.


식물은 태어난 그 자리에서 일생 동안 모순된 조건을 견디며 살아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침습해오는 동물의 공격을 감당해내야 한다. 소리치거나 몸으로 저항하지 않으니 그 고통을 인정받을 수조차 없다. 이들은 사람으로 치면 우울증 앓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내가 풀과 나무를 대하는 근본 자세는 우울증 앓는 사람을 대하는 그것과 같다. 내가 우울증 앓는 사람을 대하는 근본 자세는 내가 나를 대하는 그것과 같다. 내가 나를 대하는 근본방식은 우울증을 오랫동안 앓아왔던 내 상처에 대한 치유, 바로 그것이다.


한의원 열면 주위에서 많은 풀과 나무를 선물한다. 대개 방치되다가 일 년 전후해서 죽기 마련이다. 내 경우는 다르다. 오래 산다. 내가 내 환우들을 치유하면서 읽어내는 “자기 존재 전부로 다만 아름다워진”(43쪽) 모습을 그 풀과 나무에게서도 읽어내기 때문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