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마중하며


요즘 새로이 떠오르는 우리사회의 화두 가운데 하나로 성조숙증 문제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지나치게 어린 나이(여아 8세, 남자 아이 9세 정도)에 이차 성징을 보이며 성적으로 미리 자라는 것을 말합니다.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 인스턴트식품 섭취 등에 따른 환경 호르몬, 과다정보에서 오는 지나친 성적 자극.......수많은 원인이 있고 그에 맞춘 치료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미 이것은 거대한 사회현상이며, 나아가 문명현상입니다. 개인 단위의 노력으로 해결될 문제를 넘어섰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될 매우 중요한 사실 하나가 있습니다. 성조숙증이 청소년기를 앞당긴다는 것입니다! 이는 청소년기를 지나서도 부모에 의존하는 이른바 성장지체 현상이 청소년기를 늦추는 현상과 짝을 이룹니다. 결국 이 두 현상이 쌍방향 장력이 되어 청소년기를 앞뒤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 사실 때문에 우리는 칼 같은 문제의식 앞에 섭니다. 청소년기에 우울증 최초 발병의 90%가 일어난다는 것, 이미 다 아는 바. 그런데 이렇게 그 시기가 늘어나면 거의 100%에 육박하고야 말 것입니다! 그 성격으로 미루어 청소년우울증 문제를 사회 전체의 공적 의제로 삼아야만 하는 이치가 여기에 담겨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바로 아이들의 자살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대학교 저학년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의 자살 통계를 낸다면 이 또한 OECD 국가 중 1위, 뭐 이런 말이 나올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삶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우울로 침전되어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이 상황을 개인이 잘못된 선택을 한 것으로 규정하고서야 어찌 우리가 미래를 말할 수 있겠습니까?


참으로 중대하고 급박한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 더 이상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됩니다. 더 이상 모르는 척해서는 안 됩니다. 인제 이 문제를 맨 얼굴로 마주해야만 합니다. 이 대면의 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