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장 본문입니다.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 君子愼其獨也.

喜怒哀樂之未發謂之中 發而皆中節謂之和. 中也者天下之大本也 和也者天下之達道也.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하늘이 명하는 것을 성(性)이라 하고 性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 道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道에서는 잠시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道가 아니다. 이 때문에 군자는 그 보이지 아니하는 곳에서 경계하고 삼가며 그 들리지 아니하는 곳에서 두려워한다. 숨은 것에서 가장 잘 나타나며 미세한 것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 홀로 있을 때 조심한다.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정(情)이 아직 나타나지 아니한 상태를 ('속'이라는 의미로서) 중(中)이라 하고 나타나서 모두 절도에 맞게 된 상태를 화(和)라 한다. 中이란 천하의 큰 뿌리이고 和란 천하에 통하는 도리이다. 中과 和를 이루면 하늘과 땅이 제자리로 돌아가고 만물이 (제대로) 길러진다.  

 

2. 제1장은 주희가 썼다고 합니다. 처음엔 어기와 내용의 기획성을 보고 그냥 후대의 편집 의도 때문에 선두에 놓인 것이라 추정했는데 나중에 대가들의 주석을 보니 주희 작품이라는군요. 그리고 주석들은 대부분 문장의 웅혼함과 압축미에 찬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그런 제압 효과를 염두에 두고 주희는 깊은 고뇌 끝에 이 부분을 <중용> 텍스트의 도론(導論)이자 당당한 본문 제1장으로 배치했을 것입니다.  

 

주희의 의도대로 제1장부터 읽으면 <중용>은 주희의 독법으로 읽게 될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와 같이 그 의도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맨 뒤로 돌리면 전혀 다른 독법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부족하나마 우리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관성을 유지하며 여기까지 왔습니다. 그러면 당최 주희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요?  

 

3. 제1장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앞부분은 마치 <중용> 전체의 대미(大尾)인 제33장을 요약, 선취(先取)한 듯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性과 道와 敎를 정교한 논리 관계로 제시하여 중용에 단도직입으로 육박해 들어가는 길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性과 道와 敎를 수직적 구조로 선명하게 구획함으로써 중용을 중세적 신분 질서 속에서 파악하도록 암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상천(上天)의 작용은 소리가 없고 냄새가 없다는 것이야말로 지극한 것이다(上天之載 無聲無臭 至矣)" 라고 한 제33장의 대승(大乘)적 결론을 비틀고 깎아서  "그 홀로 있을 때 조심한다(愼其獨也)"는 소승(小乘)적 결론으로 축소해버렸습니다. 홀로 있을 때 조심하는 것은 중용의 개별적 성찰이자 전 사회적 실천의 발단입니다. 물론 불가결한 고갱이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결론으로 삼을 수는 없지요. 이 일은 작정하고 그리 한 것이 아니라면 삼척동자도 하지 않을 짓입니다. 이런 사실을 눈치 채지 못한 후대 아류들은 신독(愼獨)을 선비의 최고 덕목으로 삼고 말았습니다. 愼獨은 백성과 쌍방향 소통하기 위한 조건일 뿐이거늘!  

 

뒷부분은 더욱 노골적입니다. 중용을 말하는 텍스트의 도론(導論)에 아예 대놓고 중화(中和)로 못을 쳐버립니다.  후대 사람들이 아무리 中和와 중용을 일치시키려 애를 써도 주희가 구태여 中和란 용어를 쓴 연유를 알지 못하는 한 허깨비 놀음에 지나지 않습니다. 주희의 중용은 그의 중화입니다. 중화는 中을 중세적 관료주의 틀 안에서 실천하는 것(和)입니다. 아니 和는 中을 관철시키기 위한 중세적 관료주의 시스템(節) 자체를 가리킵니다.  中은 천자(天子)이자 중화(中華)적 질서입니다.  

 

그 끈질긴 명사적 어법! 게다가 그 '자랑스런' 이기(理氣)와 체용(體用)의 이분법!  

 

최후로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中과 和를 이루면 하늘과 땅이 제자리로 돌아가고 만물이 (제대로) 길러진다(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  

 

그야말로 초안정 시스템입니다. 하늘과 땅은 그저  제자리를 지킵니다(位)! 만물도 中의 뜻대로 사육됩니다(育)! 우리는 맨 마지막 문장에도 주희의 주도면밀한  의도가 개입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이 빚어짐, 즉 화(化)를 빼버리고 育만을 남긴 것은 변화를 불온하게 여기는 정치적 선택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4. 우리는 제1장을 제33장 뒤에 읽음으로써  이런 자유, 이런 통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사실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교훈을 던져줍니다. 사회정치적 헤게모니 블록이 제공한 인지(認知) 도식(scheme)에 갇혀 사고하면 결국 그들이 기획하는 그들만의 안정체제 안에서 꼼짝 없이 부품으로 전락하고 만다는 것입니다.  

 

<중용>은 주희로 말미암아 공자의 손을 떠났습니다. 오늘의 우리는 <중용>을 주희의 손에서 떠나게 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과제를 안고 <중용> 앞에 서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오늘 한국 사회를 사는 우리가 말하는 중용은 무엇일까요? 직접적인 답을  뒤로 미루고 최근 마주한 에피소드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답이 자명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헤게모니블록의 핵심에서 방사능 위험성을 퍼뜨리는 '좌빨'이 있다는 어처구니 없는 말이 흘러나왔지요. 그들은 대체 뭐가 무서운 걸까요? 그들에게 주희의 中和를 들이밀어 보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