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6장 세 번째(마지막) 문단입니다. 

詩云維天之命 於穆不已 蓋曰天之所以爲天也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蓋曰文王之 所以爲文也 純亦不已.  

 

<시경>에 이르기를, "오직 하늘의 명은, 아아 충실하여 그침이 없도다."라고 하였으니 대개 하늘이 하늘 된 까닭을 말한 것이고, "아아 뚜렷하게 나타나지 아니하는가, 문왕의 덕의 순일함이여!"라고 하였으니 대개 문왕이 문(文)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다. 순일하고 또한 그치지 아니함이다.    

 

2. 목(穆)의 뜻을 놓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누구는 미(美)다, 누구는 심원(深遠)이다, 누구는 충실(充實)이다, 제각각입니다. 그러나 문맥에 답이 있습니다. 이 문단 전체의 맥으로 보아 穆도 純도 不已로 귀착된다는 사실은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不已는 제26장 전체 문맥에서 不息 또는 無息과 같은 의미군을 형성합니다.   

 

무엇이라 표현하든 온전한 도리는 그 자체로서 목적이며 과정이기 때문에 수단화되어서도 안 되고, 결과적 상징물로 모셔져도 안 된다는 원칙을 거듭해서 강조하는 것입니다. 본 문맥에서 그 온전한 도리는 至誠이며 다른 표현은 至誠의 변주(variation)입니다. 결국 至誠不息 愈久無疆의  빛 아래서  부분적 이해를 조절해야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穆은 至誠의 범주와 동떨어질 수 없는 말입니다. 充實이란 뜻으로 읽는 게 비교적 타당하지만 그렇게 읽으면 그냥 誠이라고 하지 않은 까닭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誠은 誠이되 사물의 이치를 가없이 맑게 드러내는 실천적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뒤에 文 임금의 덕을 純이라 한 것과 자연스럽게 어울립니다.   

 

3. 文 임금 덕은 순수함입니다.  그의 정치적 실천은 하나하나 그 자체로 목적이므로 무슨 이득을 위한 수단이 아니어서 순수합니다. 백성과 온전히 소통하므로 그 기품이 투명하게 드러나서 순수합니다. 평생을 그렇게 살아 不已입니다.  

 

4. 맑고(穆) 순수한(純) 소통이 끊임없이(不已) 넘실거리는 사회를 만드는 게 정치의 본령이자 목표입니다. 물론 정치 현실에서는 제 이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구사하는 권모술수와 이전투구가 불가피하게 나타나겠지요. 그러나 오늘 우리사회의 정치를 보면 전자는 없고 후자만 준동하고 있습니다.   

 

감사원장 후보였던 사람이 사퇴하면서 뱉어낸 말들을 들어보면 그 부류 사람들은 대다수 시민과 전혀 다른 세상을 사는 사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통이 전혀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하기야 그들은 대다수 시민을 천한 쌍것으로 여기니 소통이란 개념 자체를 불쾌하게 여기겠지요. 그런데 그런 고귀하신 분들께서 이토록 천한 쌍것들을 국민이라 이름 하면서 존숭의 제스처를 취하니 도대체 민주주의란 얼마나 알량한 쇼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