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5장 본문입니다.
誠者 自誠也 而道 自道也. 誠者 物之終始. 不誠 無物. 是故 君子 誠之爲貴.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時措之宜也.
성(誠)은 자기 자신을 이루는 것이고 도(道)는 자기를 인도하는 것이다. 誠은 물(物)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유지하는 원동력이다. 誠하지 아니 하면 物이 없다. 이 때문에 군자는 物을 귀하게 여긴다. 誠은 스스로 자기를 완성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物을 완성하는 수단이 된다. 자기를 완성하는 것은 인(仁)이고 남을 완성하는 것은 지(知)이니 성(性)의 덕이며 안과 밖은 합하는 도이다. 그러므로 때에 맞게 조처하는 마땅함이다.
2. 적확하고도 치열한 실천(誠)은 내면의 힘에서 나옵니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중용의 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스스로 소통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즐겁고 행복해서 관통하고 흡수하는 것입니다. 남한테 내세울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남에게 겸손하게 청하여 함께 그 기쁨을 나눌 일입니다.
3. 적확하고도 치열한 실천은 사건(物)을 일으키고 마무리합니다. 그 실천이 없다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 진정으로 상호 소통하는 사건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 실천은 그 사건들의 생명주기와 함께 합니다. 사건의 주체이자 사건 그 자체의 불가분 일체입니다.
4. 그러므로 적확하고도 치열한 실천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이루어 가는 일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생태적 소통의 사건을 이루어 가는 일입니다. 사회와 자연과 절연된 개인은 있을 수 없습니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입니다. 인간적인 것이 자연적인 것입니다.
5. 자기 자신을 이루어 가는 일은 다른 사람을 사랑해야(仁) 가능합니다. 자기 자신은 스스로 규정하는 게 아닙니다. 타인에게 부름 받아 규정됩니다. 그의 사랑을 받아 이루어집니다.
사건을 이루어 가는 일은 사건의 흐름과 방향을 알아차려야(知) 가능합니다. 이 알아차림은 실천에서 나오는 증득(證得)의 지혜입니다. 함께 흘러감으로 생겨난 슬기로움입니다.
그러나 사랑하는 것과 알아차리는 일은 본질(性)에서 통합됩니다(合內外).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됩니다. 사랑은 소통의 서정이며 알아차림은 소통의 지성입니다.
6. 소통은 생명입니다. 생명은 시간입니다. 그 때 그 때 알 맞는 영양과 보살핌이 마땅히 있어야(時措之宜) 생명은 유지되고 확산됩니다. 생명은 다만 은총인 것이 아니고 정성스럽게 가꾸어야 할 인연인 것입니다.
7. 지금의 헤게모니 블록을 보면 仁도 없고 知도 없음이 확실합니다. 오직 탐욕과 그 것을 채워주는 공작적 정보만 있을 뿐입니다. 그러니 무리하게 밀어 붙이고 나중엔 오리발 내미는 것으로 일관합니다. 時措之宜와는 정반대의 길로 내달리고 있습니다. 가장 큰 걱정은, 저들이야 결코 오래가지 못하겠지만 나라가 회복 불능 상태로 망가지면 어쩌나 하는 것입니다. 이미 그렇게 되고 있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