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0장 일곱 번째 문단입니다.  

 

誠者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 誠者不勉而中 不思而得 從容中道聖人也. 誠之者 擇善而固執之者也.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有弗學 學之 弗能弗措也. 有弗問 問之 弗知弗措也. 有弗思 思之 弗得弗措也. 有弗辨 辨之 弗明弗措也. 有弗行 行之 弗篤弗措也. 人一能之己百之 人十能之己千之. 果能此道矣 雖愚 必明 雖柔 必强.    

 

誠은 하늘의 도이고 誠해지려고 노력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誠한 자는 힘쓰지 않아도 적중하고 생각하지 않아도 얻게 되며 저절로 도에 적중하니 성인이다. 誠해지려고 하는 자는 선을 택해서 굳게 붙잡는 자이다.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며 돈독하게 행한다. 배우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배운다면 능해지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묻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묻는다면 알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생각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생각하면 얻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분별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분별하면 밝히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행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행하면 독실하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남이 하나를 할 수 있으면 자기는 백을 하고 남이 열을 할 수 있으면 자기는 천을 한다. 과연 이 방법을 할 수 있으면 비록 어리석어도 반드시 밝아지며 비록 연약하더라도 반드시 강해진다.  

 

2. 길고 긴 제20장이 이제야 끝납니다. 처음에는, 울퉁불퉁하고 부자연스러워서 앞부분을 모조리 없애고 딱 이 문단만 가지고 제20장 공부를 하려고 했습니다. 사실 이 내용만으로도 誠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모자람이 없습니다. 다만 오랜 세월에 걸쳐 사회적 타당성을 획득해 가며 의미군을 쟁여 온 텍스트라는 역사적 현실성을 인정해 수신(修身)을 지도리 삼아 중용과 誠을 연결하는 문맥으로 이전 문단들을 자리매김 해 본 것입니다.  

 

그래도 이 정도 자유나마 누릴 수 있는 세상이 고맙습니다. 조선시대 윤휴는 주희와 다른 해석을 했다 해서 사문난적으로 몰려 죽임까지 당했으니 말입니다. 물론 지금 세상은 지금 세상대로 더 가혹한 질곡이 있지만 주희가 산 사람을 죽이지는 않으니 그 아니 다행이겠습니까.  

 

3. 다시 말씀드리거니와 誠은 성실함, 정성스러움이라고 이해하기에 앞서 중용의 中과 본질적으로 같은 뜻으로 새겨야 합니다. 제16장에서 살폈듯이 만물의 주체로서 도에서 무엇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體物而不可遺) 치열하게 실천한다는 역동적 의미를 가지는 말입니다. 그래서 적확하다, 벗어나지 않는다, 어긋나지 않는다는 내포로서 中과 연속되는 것입니다.  

 

본문은 완전한 誠과 애쓰는 誠之를 구별합니다. 완전한 誠이야 舜 임금 같은 성인이나 할 수 있는 경지이니 현실적으로는 오로지 푯대요 깃발일 뿐입니다. 나머지 우리 모두는 찰나 찰나 선을 택해서 굳게 붙잡아야 하는(擇善而固執之) 노력 과정 자체로 살아갑니다. 늘 깨어서,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며 돈독하게 행하는(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순간순간을 무릎으로 지나갑니다.  

 

안 하면 몰라도 하려 들면 하고자 하는 바가 이루어질 때까지 멈추지 않는 열정으로 남보다 더 분투하는 과정에서 우유(愚柔)가 명강(明强)으로 바뀝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그 과정 자체가 誠입니다. 평범한 사람의 미련하고 어리석은 실천이 한 줄기 한 줄기 모여 중용의 강을 이루어 냅니다.    

 

중용은 존재가 아닙니다. 중용은 실천입니다. 중용은 결과가 아닙니다. 중용은 과정입니다. 중용은 완성이 아닙니다. 중용은 영원한 노력입니다. 중용은 특별한 자의 포효가 아닙니다. 중용은 평범한 자의 함성입니다. 바로 이런 중용의 모습을 돋을새김 한 표현이 誠입니다.  

 

4. 인터넷으로 열린 새로운 세상을 폄훼하고 통제하려는 자들이 여전히 독기를 뿜어내고 있습니다. 아마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 되겠지요. 아마도 인터넷 세상의 주체들이 거의 완벽에 가까운 분산, 평등형 주체이기 때문에 통괄지휘가 불가능하다는 사실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무제약과 소란함을 통해서 그들은 쌍방향 소통을 합니다. 바로 이게 희망입니다.  

 

아마도 이들이 이른바 "21세기 중용집단"의 원형이 될 것입니다. 쌍방향 소통으로써 배우고(學), 묻고(問), 생각하고(思), 분별하고(辨), 실천하는(行) 자율 주체로서 자신이 바라는 사회를 구성해 가는 평범한 성지자(誠之者)인데 더 이상 누구의 훈계 따위를 들어야 할까요? 그들의 직관과 담론을 희화화하는 자들은 지금 제 발등을 찍고 있음에 틀림없습니다.    

 

오늘 그들은 어리석다(愚), 약하다(柔) 무시당하지만 내일 그들은 밝고도(明) 강한(强) 시민으로서 성숙한 한국사회의 주인공이 될 것입니다. 그들이 이룩할 중용세상, 저 大同을 희망으로 부둥켜안고 지금 우리를 에워싼 어둠, 견뎌내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