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0장 다섯 번째 본문입니다.
凡事豫則立 不豫則廢. 言前定則不跲 事前定則不困 行前定則不疚 道前定則不窮.
무릇 모든 일은 미리 준비되면 이루어지고 미리 준비되지 않으면 어그러진다. 말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착오가 생기지 않고 일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곤란하지 않게 되며 행동하는 것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탈이 없게 되고 방법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궁하지 않게 된다.
2. 이 문단 또한 조금 부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앞에서 아홉 가지 다스림의 원칙에 대해 장황하게 말하다가 느닷없이 예(豫)와 전정(前定)을 말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편집자가 흩어져 있는 문서 조각(fragment)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불협화음이 아닐까 합니다. 칼 같은 문헌비평에 의거 빼버려도 무방하겠지만, 이 경우 전후 문맥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움을 보완해주는 방향으로 해석하면 크게 무리 없을 것입니다.
앞에서 수신(修身)문제를 계속해서 말하였고, 이 문단 바로 뒤에서는 성(誠) 문제를 언급합니다. 대략 이런 연결의 지도리로 豫와 前定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리" 준비하고 정한다는 말은 사회적 실천의 핵심으로 사적 실천을 놓는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미리" 준비하고 정한다는 말은 단순히 시간적인 앞섬, 예비적 단계를 지시하지 않습니다. 개인 개인의 내면적 성찰과 꼿꼿한 발걸음 없이 사회적 외양만을 갖추고서는 참된 중용이라 할 수 없다는 뜻을 가지는 것입니다. 결국 이런 의미 내함은 修身과 한 손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다음 문단의 誠과 잡는 것이지요.
豫前定은 끊임없는 실천의 닦음, 즉 修身의 자세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입니다. 자동적으로 되는 일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매 순간 알아차리고 챙겨야 적확한(誠) 사회적 실천, 즉 중용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의 의미군을 이런저런 측면에서 살핀 것이 修身, 豫前定, 誠으로 표현되었다고 이해하면 간편합니다. 물론 誠은 그 자체로 중(中) 또는 중용의 '본토'에 깊이 발 들여 놓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런 불연속성을 구태여 예리하게 구분할 실익은 관념 영역 에서나 찾을 일입니다. 궁극적 실천영역에서는 상호 연속성이 그대로 힘이 됩니다.
3. 豫前定은 사회의 동향, 역사의 흐름을 읽고 참여하는 삶에서 일어나는 통찰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올바른 결과를 내기 위한 기계적 인과간계의 전제 조건으로 豫前定을 거론하는 게 아닙니다. 豫前定은 선택이며 결단입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투명한 정신, 옹골찬 기상을 필요로 합니다. 여기에는 야합과 흥정이 설 땅이 없습니다.
4대강 사업과 내년도 예산 문제를 둘러싼 소용돌이 속에서 국민들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지배집단의 야합과 흥정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전혀 豫前定이 안 된 상태에서 저마다 준동하고 있습니다. 백성의 삶과 생각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 끊임없이 거짓말하고 모르쇠하고 얼렁뚱땅 넘어가고 있습니다.
참으로 豫前定하려면 저 "높으신 분들"은 저자 거리로 나와야 합니다. "특별함"의 기득권과 편견을 타고 앉은 채 이루어지는 仁은 없습니다, 중용은 없습니다. 지도자입네, 원로입네, 지식인입네 하며 자기기만 하는 자리에서 냉큼 내려와 백성과 호흡해야 합니다. 그들의 소리를 경청해야 합니다. 그게 바로 순(舜)임금의 실천인데 누가 감히 여기에 토를 달 것입니까? 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