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0장 세 번째 문단입니다.  

 

天下之達道五 所以行之者三. 曰 君臣也 父子也 夫婦也 昆弟也 朋友之交也 五者天下之達道也. 知仁勇三者 天下之達德也 所以行之者一也. 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一也. 或安而行之 或利而行之 或勉强而行之 及其成功一也.   

 

천하의 달도는 다섯 가지가 있고 이를 행하는 소이는 세 가지가 있다. 군신, 부자, 부부, 형제, 붕우의 사귐이라고 하는 것 다섯 가지가 천하의 달도이다. 지, 인, 용 세 가지는 천하의 달덕이니 이를 행하는 소이는 한 가지이다. 혹 나면서 알며 혹 배워서 알고 혹 고심해서 알지만 안다는 점에서 보면 같은 것이다. 혹 편안하게 행하며 혹 이롭게 여겨서 행하며 혹 애쓰고 억지로 힘써서 행하지만 그 공을 이루는 점에서 보면 같은 것이다.  

 

2. 세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 가치로서 도가 펼쳐지는 인간관계는 가족에서 출발하여 가까운 이웃을 거쳐 사회정치적인 큰 지평까지  아우릅니다. 각각 나타나는 양상은 다르지만 근본에서 일치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커 보이는 정치적 인간관계의 이치 또한 "평범함에서(庸) 벗어나지 않습니다(中)".   

 

이러한 도리를 바로 알아(知) 어질고(仁) 날래게(勇) 실천하는 것이 세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인 덕입니다. 세 가지를 따로 나누어 각각 덕이라 이름 하는 것, 그리고 다시 둘로 나누어 지와 행을 논하는 것이 오래된 명사적 독법 전통이지만 중용의 실천적 맥락을 놓치는 안일한 해석입니다.  

 

아는 것도 실천입니다. 실천도 아는 것입니다. 실천 없는 지식은 처음부터 지식이 아닙니다. 깨달음 없는 실천은 처음부터 실천이 아닙니다. 적어도 중용을 논하는 자리에서는 知는 行知이며 行은 知行입니다. 실천 없는 명상적, 관념적 중용에는 중도 없고 용도 없습니다. 중용의 외양을 취하더라도 알아차림 없는 동작이라면 가치로서 무의미한 것입니다.  

 

그러나 각각 처한 상황이 있는 까닭에  완벽하지 않은 수준에서 사회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인정해야 합니다. 사람이므로 지니는 현실적 한계입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이 닦아야(修)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수신(修身)입니다. 실천 자체를 부단히 최고의 경지로 밀어 올려야 하는 것입니다. 허나 최고의 경지란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이상이므로 자신의 실천이, 아니 자신 자체가 "평범하다"는 사실을 순간순간 확인하는 것이 수신의 핵심입니다.   

 

결국 이 지점에서도 동사적 독법의 필요성이 나타납니다. 반복되는 "일야(一也)"는 "오직 그렇게 다함없이 닦아 나아가야 한다."는 역동적 격려요 요청입니다.   

 

3.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분들과 대화치유 과정을 함께 하다 보면  매 순간 그 분들이  제가 마법적 구원자이기를 바라고 있다는 사실 앞에 서게 됩니다. 그러나 인생에 마법은 없습니다. 치료자라 이름 하지만 저 또한  우울의 깊은 우물 속에 영혼 얼마를 담근 채 살아갑니다. 사실 누구도 그렇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믿으며 환우들과 동행합니다. "제가 꼭 한 걸음 앞에서 걷겠습니다. 제 손을 잡으십시오." 그만큼 낫다는 게 아닙니다. 다만 조금 먼저 경험했을 뿐입니다.  그 이상의 경지, 그 이상의 자격을 갖춘 자 과연 누구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