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6장 본문입니다. 

 

子曰 鬼神之爲德 其盛矣乎.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 使天下之人齊明盛服 以承祭祀 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 詩曰 神之格思 不可度思 矧可射思. 夫微之顯 誠之不可揜 如此夫.    

 

공자는 말씀하셨다. "귀신의 덕 됨이 성하도다.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만물의 주체가 되어 하나도 빠뜨리지 않는다.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재계하고 깨끗이 하여 옷을 잘 차려입고서 제사를 받들도록 하고, 양양하게 그 위에 있는 것 같고 그 좌우에 있는 것 같다." <시경>에 이르기를 "신의 이름을 헤아릴 수 없거늘 하물며 싫어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대저 미미한 것의 나타남과 정성스러움을 가릴 수 없는 것이 이와  같도다.  

 

2. 느닷없이 귀신 이야기가 나옵니다. 여기 귀신은 특별한 의미가 있어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그냥 이해하는 그 귀신 이미지를 애써 벗겨낼 일 없다고 생각합니다. 움츠러들고 펼쳐지는 세계 운동으로 합리화하여 설명하는 주자식 해석이 오히려 별나 보입니다. 그런  의미의 귀신이라면 거기에 무슨 덕이 있을 것이며, 거기다 대고 제사는 또 뭣 하러 지내는 것일까요?  

 

오감에 잡히지는 않으면서 분명하고 적확하게 일어나는 사물의  운행을 인지할 때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경외감을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인격적 이미지로 떠올리면 바로 그게 귀신이 됩니다. 인간 지식과 지혜로 감당 안 되는  우주의 이치가 신비 영역으로 '모셔지는' 것은 공자 시절이나 지금이나 근본적으로 동일합니다. 거기에 경건함을 부여한다고 대뜸 미신 운운하는 짓이야말로 방자한 행태입니다. 물론 이는 뭐든지 귀신 역사라고 보는 신비주의 종교나 퇴마 신앙과는 다릅니다.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겸허함이 인간동형론적으로 표현된 문화현상 수준에서 적절하게 머무르는 게 옳겠지요.    

 

3. 그러면 중용을 논하는 자리에서 귀신 이야기는 왜 나온 것일까요? 아마도 핵심은 맨 마지막 문장일 것입니다. 미미한 것의 나타남과 정성스러움을 가릴 수 없는 것이 중용의 요체인데 그런 이치를 가장 극적으로 드러내주는 현상이 바로 귀신이다, 이런 맥락입니다.  그것을 귀신 현상으로 묘사한 말이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만물의 주체가 되어 하나도 빠뜨리지 않는다(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입니다.  

 

그러므로 "미미한 것의 나타남과 정성스러움을 가릴 수 없는 것"이라는 말의 뜻은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만물의 주체가 되어 하나도 빠뜨리지 않는다."는 말의 뜻과 함께 이해되어야 합니다. 미미한 것의 나타남(微之顯)과 정성스러움을 가릴 수 없는 것( 誠之不可揜)이 대구(對句)라는 사실은 누가 봐도 자연스럽습니다. 微: 誠, 顯: 不可揜,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드러나고 가릴/덮을 수 없는 것의 짝은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미미함과 정성스러움의 짝입니다. 그 둘은 어떤 의미에서 짝일까요?   

 

우리는 이 대구가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만물의 주체가 되어 하나도 빠뜨리지 않는다(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는 문장의 역접 상태를 그대로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보아도 보이지 않아 미미하지만 만물의 주체가 되어 하나도 빠뜨리지 않아 벗어남/어긋남이 없으니 내세우지 않아도 자연스레 나타나고 가려지지도 않는다는 뜻입니다.  

 

요컨대 여기 誠은 성실함, 정성스러움이라는 덕성이라기보다 벗어나지/어긋나지 않는다는 역동적, 실천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微는 庸이 되고 誠은 中이 됩니다. 中庸의 다른 묘사가 바로 誠微입니다!  

 

드러내지 않고, 자랑하지 않고, 권력화하지 않고, 이득을 챙기지 않고 겸손히 "평범한" 소통을 이루는 일에서 늘 벗어나지 않음이 중용이고 성미입니다. 그 성미의 덕이 성(盛)하여 만인이 재계하고 깨끗이 하여 옷을 잘 차려입고서 제사로 받드니 도처에 그 대동의 기운이 깃드는(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 것입니다.  

 

4. 그렇습니다. 핵심은 귀신이 아닙니다. 드러나지 않는 올곧은 소통의 실천으로 대동세상이 드러나게 하는 것이 바로 중용이다, 이게 핵심입니다. 그게 바로 민주주의입니다. 그 안목으로 보면  오늘 이 땅에 준동하는 "특별한" 정치깡패들의 작태란  참으로 가소로운 허깨비 놀음이 아닐 수 없습니다. 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