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1장 본문입니다.  

 

子曰 索隱行怪 後世有述焉 吾弗爲之矣. 君子遵道而行 半途而廢 吾弗能已矣. 君子依乎中庸 遯世不見知而不悔 唯聖者能之.  

 

공자는  말씀하셨다. "은벽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는 일은 후세에 칭술함이 있지만 나는 그런 일을 하지 않는다. 군자가 길을 따라서 가다가 길을 반쯤 가서 그만두기도 하지만 나는 그만둘 수 없다. 군자는 중용에 의지하므로 숨어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하여도 후회하지 아니하니 오직 성인만이 할 수 있다."   

 

2. 은벽한 것을 찾고 괴이한 것을 행하는 일은 세상에 알려지기 위해 "특별히" 하는 행동입니다. 나아가 그런 행동들로 점철된 삶의 흐름입니다. 물론 그 과정에 권력과 부와 명예가  결합하겠지요. 이런 풍조를 일컬어 "셀러브리티 컬처(celebrity culture)"라 합니다.  

 

무슨 수를 쓰든 일단 "뜨면" 만사형통인 세상이 점입가경으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처음엔 연예계에서나 일어나던 일이었지만 지금은 "떠야" 대통령도 되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황색 언론은 물론 주류 언론조차  특정인을 '신'으로 만드는 짓 따위를 서슴없이 자행하는 것입니다.  

 

만들어진 이미지와 실제 내용의 괴리가 그 어느 때보다 심한 세상입니다. 심지어 그래야 마땅한, 그래서 더욱 조장되는 세상입니다.  그런 세상에서 "뜬" 사람들이 하는 일은 일일이 결단과 업적으로 미화되어 뉴스 첫 머리를 장식하곤 합니다.    

 

그 시대정신은 막강한 힘으로 군림합니다. 무슨 짓으로든 일단 셀러브리티가 되면 단박에 인간적인 품위까지  격상되는 기적(!)을 맛볼 수 있으니 거기에 어찌 사회적 힘이 붙지 않겠습니까? 어떤 젊은 연예인이 (자신이 귀족이라는 의미를 전제하고) 비연예인인 사람들을 "평민"이라 했다니 가히 알 만하지요.  

 

게다가 요즘은 CEO 개념이 탁월한 사람, 저 셀러브리티를 묶는 범주가 되어버렸습니다. 무엇보다 대통령을 CEO라 하니 다른 분야야 더 말해서 무엇 하겠습니까. 대통령이 국민을 기업 차원의 경영 대상으로 삼는 일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면 함부로 할 말이 아닐 텐데도 이미 우리사회는 이를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런 게 "드러나 세상에 알려진" "특별한" 사람들이 조장해낸 생각입니다. 당연한 듯 보이지만 실은 "은벽하고 괴이한" 생각입니다. 처음부터 죄다 잘못된 것은 아닐 테지요. 변화된 맥락을 안중에 두지 않는 "특별함"이 일을 그르치게 한 것입니다.   

 

3. 군자의 한결같은 중용 실천은 맥락의 변화를 유연하게 살피면서 다함없이 이어집니다. 중용의 길을 따라가다가 반쯤에서 그만두는 것은 군자가 행할 바 아닙니다.  아무리 해도 "뜨지" 않자 중용 실천을 그만두는 자는 사이비 군자입니다.    

 

어차피 중용의 도는 "특별한" 프로세스를 구사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에 알려지지 않습니다. 아니 당최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소통을 통한 평범함의 추구가 중용의 도라면 정작 세상에 알려지는 주체는  대동으로 바뀌는 사회 자신일 것입니다. 군자는 자신을 숨겨 대동 세상 자체를 드러내는 겸손한 자입니다.    

 

앞 다투어 "세상에 알려지는 특별함"을 향해 내달리는 시대를 살면서 아무리 달려도 그 "특별함"에 이르지 못하는 절대다수의 사람이 참 주인인 세상을 꿈꾸며 군자는 표표히 무대 뒤로 몸을 숨깁니다. 그 결단을 아까워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성인입니다.  

 

자신을 드러내어 세상을 발아래 두는 자가  군자 아니듯이 특별한 부류를 떠받드는 세상 또한 대동이 아닙니다.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탈세, 병역기피, 외도, 주가 조작, 거짓말을 일삼으며 죽기 살기로 "특별함"을 탈취하는 자들이 움직이는 이 反대동 세상에서 평범함을 지키는 길이 과연 있기는 한 걸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