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9장 본문입니다.  

 

子曰 天下國家 可均也 爵祿 可辭也 白刃 可蹈也 中庸 不可能也.  

 

공자는 말씀하셨다. "천하나 국가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벼슬이나 녹도 사양할 수 있으며, 시퍼런 칼날도 디딜 수 있으나 중용은 할 수가 없다."   

 

2. 중용은 과연 최고의 덕입니다. 천하나 국가를 고르게 하는 위대한 정치력의  "특별함"으로도, 큰 벼슬이나 녹을 받을 만한 재목의 "특별함"으로도, 시퍼런 칼날을 디딜 수 있는 재능의 "특별함'으로도 접근이 불가능한 가치입니다.   

 

중용의 이 도저한 "평범함"은 인간 생명의 전 면모를 통해 드러나는 통합가치입니다. 참된 소통의 흐름에 자신을 놓는 맑은 마음, 소통을 꿰뚫어 보는 슬기, 꿋꿋이 소통을 실천하는 옹골참이 어우러져야 비로소 가능한 것입니다. 그리고 보면 오히려 "특별함"이 더 쉽습니다. 애써 통합할 것 없이 갈라놓으면 그뿐이기 때문이지요.  

 

사실 중용실천의 전제 조건을 살펴보면 "이걸 어찌 평범하다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도리어 관념적이지 않느냐는 반론이  가능합니다. 허나 핵심은 무엇이 평범한가 하는 추상적 문제에 있지 않습니다. 누구라도 누리기를 바라는 권력, 돈, 지식이 특별한 가치로 이미 자리매김 되어 있는 현실 세계가 大同을 거절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결국 평범하지 않은 것을 평범하다 하는 요청적인 어려움은 바로  그 사이비 특별함 때문에 생긴 난제인 셈이지요. 세상이 꼬인 것입니다. 가치가 뒤바뀐 것입니다. 이래서 중용은 혁파입니다. 혁파이기 때문에 공자의 입에서 "할 수가 없다(不可能也)"는 탄식이 흘러나온 것입니다.  

 

3. 요즘 우리사회 돌아가는 모양이 꼭 그와 같습니다. 입만 열면 경제를 말하는데 경제는 더 나빠지고 그로써 더더욱 백성들은 "배부른 돼지"가 되도록 교묘하게 '사육' 당하고 있습니다. 그 사육정책으로 누가 무슨 이득을 챙길지 뻔히 알면서도 온 사회가 마치 무엇에 씌운 것처럼 한 방향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마음을 챙기고 다시 세상을 보면 지. 금. 여. 기. 야말로 공자가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중용적 혁파가 필요한 시공간임을 알게 됩니다. 다시 한 번 곰곰 챙겨 보겠습니다.   

 

참된 소통의 흐름에 자신을 놓는 맑은 마음,

소통을 꿰뚫어 보는 슬기,

그리고 꿋꿋이 소통을 실천하는 옹골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