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3장 본문입니다. 

子曰 中庸 其至矣乎 民鮮能久矣.

공자는 말씀하셨다. "중용은 최고의 도리이다. 백성들은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
 

2. 평범함에서 늘 벗어나지 않는 일이야말로 가장 어려운 실천의 덕목입니다. 자신의 기득권에 대한 애착과 집중을 버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신과 같은 정도로 대우해야 하는 상대방과 소통하려면 필승의 전략이 아닌 공감의 진정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입니다. 진정성으로 세상을 살기 얼마나 어려운가, 그런 자세로 살면 백전백패할 것인데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영혼 깊숙히 동의하기가 여간 힘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2장에서 보았듯이 "특별한" 존재로 인정 받고, 거리낌 없이 사는 사람들이  세상의 권력, 돈, 지식을 거머쥐고 있는데 그들 밑에서 힘 없이, 궁핍하게, 더듬거리며 한 평생을 살고싶은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아무리 애쓰며 살아도 고작 백년 안쪽인데  도덕이며, 가치며, 아름다움이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이런 생각에 누군들 빠져들지 않겠습니까? 그러니 소인에 맞서 상생의 세상, 대동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군자의 길에 선뜻 나서 내내 갈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아마도 여기 백성(民)이라 함은 소인적 삶의 자연(Sein)적 매력과 군자적 삶의 당위(Sollen)적 기품 사이에서 흔들리는 다수 시민을 가리킬 것입니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특별한" 자들에게 일방적으로 당하는 존재이므로 참 소통의 길, 즉 군자의 길에 목말라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소인의 저 "특별한" 소유도  가없는 열망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사람들입니다. 


어느 순간 분연히 떨쳐 일어나 군자의 결기를 세워 보지만 이내 주저앉게 됩니다. 자긍심에 상처 입은 처자식의 슬픈 눈망울을 뿌리치는 일이 권력, 돈, 지식을 뿌리치는 일보다 쉽다고 주장할 수 있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자신의 남편이, 자신의 아버지가 중용의 삶을 살아갈 때 흔쾌히 동의하고 동참할 아내와 자식이 있다손 치더라도 그 길을 모델로 제시하며 따르도록 강요할  권리를 가진 사람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일반 백성들은 오래 지속하기 힘듭니다. 그들은 하루하루를 눈물겹게 살아가기에도 버거운 몫을 지니고 있습니다.  중용의 도를 지속시키는 것은 군자의 몫입니다.  군자는 그 길을 자발적으로 선택한 사람입니다. 누구든 그가 선택한 만큼이 그의 삶이니 그로써 군자 되는 것이 군자의 숙명입니다.
 

3. 비록 오래 지속할 수는 없으나 백성은 때때로 화산이 됩니다. 짧은 순간 집중된 결기로 중용이 탄젠트적 성취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거대한 힘이 된다는 말입니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백성의 존재는 숭고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중용의 도를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백성을 두고 한탄하는 것은 도리가  아닙니다. 참으로 군자라면 늘 그 백성 속에서 그들과 소통하여 변혁의 여울목으로 함께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백성과 군자는 결코 분리된 존재가 아닙니다. 크게 하나(大同)입니다. 백성을 자신과 구별하는 자들은 소인입니다. 여기 백성에 대한 공자의 시각은 어떤 것일까요?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