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한 외상(trauma) 가운데 하나인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프리모 레비가 자신의 삶을 이야기한, 아니 증언한 것입니다. 전통적, 아니 통속적 관점에서 보자면 이것을 소설이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전적 소설이란 말과도 어울리지 않지요. 그러나 아니 에르노의 말처럼 감동을 주는 것이 바로 문학이라 할 때, 한 사람의 삶 자체가 이처럼 감동을 준다면 구태여 그것을 소설이라 하지 않더라도, 뭐라고 부르더라도 아무런 상관이 없는, 위대한 문학일 것입니다.  

 

제가 이 책을 접하게 된 것은 다소 아이러니컬한 계기를 통해서였습니다. 국가가 공정하게(!) 집행하는 폭력(!)에 맥없이 당하면서 깊은 두려움과 좌절감에 빠져 있던 때가 있었습니다. 마침 그 사실을 알게 된 어떤 분이 이 책을 제게 건넸습니다. 그 분은 불안장애와 우울증 때문에 제게 상담을 받았던 분이지요. 이 책으로 그 분은 저의 벗이 되었습니다. 누가 누구를 치료하는가, 구분이 사라진, 서로 말하고 들으면서 위로와 격려를 주고받는 사이가 된 것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외상(trauma)에서 비롯한 만성적인 우울증후군을 오래토록 끌어안은 채 살아 온 터인데다 그것을 증폭시켜 재점화하는 사건에 휘말려 있었기에 제게 이 책은 이독제독(以毒制毒)의 치료 독서 기회를 제공해주었습니다. 따라서 예상대로 처음에는 기분부전이 즉각 악화되었습니다. 아우슈비츠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지만, 어린 시절에 두려움에 떨며 겪어야 했던 버려짐, 배고픔, 추위, 폭력의 기억이 하나 둘씩 되살아났습니다. 성인이 되어 겪었던 군대의 나름 수용소적 분위기도 송두리째 기억 저편에서 살아나와 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뿐만 아니었습니다. 우울증과 이렇게 저렇게 관련을 맺으며 살아온 제 삶이 통째로 기우뚱거리고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우울증에 대한 관념, 치료 이론, 치료 행위.......모두 재점검하는 정중동의 시공간으로 흘러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독서가 고통스럽고 불편해졌습니다. 펴서는 차마 읽지 못하고 황급히 도로 닫아버리는 일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또 한 편, 어떤 힘에 이끌려, 자꾸 책을 열게 되었습니다. 스무 번도 넘게 이런 뒤척거림이 반복되었습니다.  

 

그러는 사이, 서서히, 관통과 흡수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제 삶에 대한 고요한 애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애도는 감정이 복받쳐 너울거리는, 장례식의 그것이 아니었습니다. 적연한 선정의 호흡처럼 꼿꼿하며 투명한 것이었습니다. 치졸한 자기 동정의 각질들이 떨어지면서 순수질량으로 복귀하는 영혼을 감지할 수 있는, 그런 애도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외상(trauma)과 고통을 비교해서, 뭐 그 정도를 가지고 호들갑을 떨었느냐, 말하는 이성에 기댄 작업만은 아니었습니다. 삶의 조건, 그리고 그에 반응하는 인간의 서로 다른 모습에서 우리가 목도하는 인간됨, 선악, 분노, 용서.......그리고 우울의 실상을 묻는 작업이었습니다.   

 

어떤 분은 지금 이스라엘(유대인)이 나치보다 더 나쁜 짓을 하고 있다며 이 책에서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시더군요. 예, 수긍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다만 나치를 고발하려고 쓴 것이 아닙니다. 이스라엘 때문에 고통 받는 팔레스타인인의 삶의 조건을 먼저 본다면, 거기에 귀 기울인다면 그 분의 마음은 분명히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시는 아우슈비츠 비극이 반복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은 누구라도 가질 수밖에 없는 간절한 소망입니다. 하지만 그 소망이 철저하게 배반당하는 시공간에 프리모 레비 대신 우리 자신을 놓는다면 우리는 과연 무엇일까요?   

 

프리모 레비는 문학가로 대성공을 거두고 삶의 절정에 선 순간 홀연히 스스로 목숨을 거두었습니다. 그의 이런 문제적 죽음과 마주하자, 문학과 문학의 바깥을 가로질러 제 고뇌는 맹렬하게 신음을 토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삶과 죽음이 칼 같은 메타포가 되어 이미 죽은 과거를 벌떡 일으켜 세우는가 하면, 유령 같은 미래를 바로 눈앞에 불러 세웠기 때문입니다. 내가 이렇게 살아 온 게 어떤 의미가 있나, 이렇게 계속 살면 희망은 생기나, 아무도 답해줄 수 없는 질문에 휩싸였습니다. 급기야.  

 

나 같은 무지렁이는 그렇다 치고. 시대의 증인으로서 그의 삶이 보여준 이성의 힘과 낙관은 결국 실패한 것인가? 이 문제의식을 자기 사유의 핵심으로 놓고 고민한 서경식의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에 따르면 그런 단서가 아프도록 풍부하다고 합니다. 물론 서경식은 자살을 이해 대상으로 삼는 것을 경계하면서 답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사실 어떤 답도 답이 아닐 것입니다. 아마도 이 질문은 세존께서도 침묵하셨을 것입니다. 하여 무기(無記). 그러면 어찌할 것인가?  

 

답은 유보입니다. 너무 멉니다. 너무 깁니다. 그래서 딱 반걸음 안쪽에 있는 풀만 뜯어먹는 말과 같이 살아가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 그 이상은 허세이며 과장입니다. 인간, 오직 인간만이, 지나치게 진화하였습니다. 탐욕을 기획하고 집단화하고 구조화하여 서로를 파멸시킵니다. 뼈아픈 반성도 무력하며 따뜻한 희망도 공허합니다. 바로 이런 인간 현실에 대한 주체적 감응(response)은 생사일여를 찰나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언어로 더 이상 표현해서는 안 되는 차원입니다. 마지막 예의를 지켜야 하는 대목이지요.  

 

프리모 레비의 또 다른 작품, 아니 증언인 <휴전>이 번역되어 나왔습니다. 알라딘에 주문해 놓고, <이것이 인간인가>를 다시 한 번 떠올려 보았습니다. 아니 에르노와는 또 다른 의미에서 프리모 레비는 제 풀죽은 영혼의 멱살을 쥐고 흔들어 깨우는 독(毒 )이 되어 오래토록 함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사람의 아픈 마음과 정면으로 마주해야 하는 의자(醫者)로서, 그의 증언, 그의 삶, 무엇보다 그의 죽음을 언제나 품에 안고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들릴 테지요, 저 영원한 웅얼거림, 이것이 인간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