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 제15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번 읽고 말기엔 아까워 어떤 구절의 표현, 어떤 대목의 내용을 살피면서 다시 읽었습니다. 소설 가운데 이런 경우를 만나기란 쉽지 않은데 말입니다. 선물해주고 싶은 사람이 몇 있어 더욱 좋았습니다.
무엇보다 첫눈에 들어온 것은 첫 장을 0번으로 매긴 것이었습니다. 물론 맨 나중 것을 다시 0 혹은 00번으로 하지 않았을까, 혹시나 하면서 기대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오랜 동안 제 글쓰기 습관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맞아떨어졌습니다. 어떻게 이 어린(!) 이야기꾼이 똑 이런 발상을 해냈는지 신기했습니다. 심지어 19 뒤에 '다시, 19' 씩이나.......
첫 장을 열어 읽기 시작하면서 ‘아, 보통 내기가 아니구나!’ 직감합니다. 생각의 무애자재한 지평과 방향, 거기에 상응하는 문장의 단소정한(短小精悍). 자지와 보지를 대놓고 말하는 단도직입의 거침없는 입심, 그래도 ‘거시기’ 선에서 일단 자제하는 절제의 주상절리. 순진무구를 길라잡이로 내세운 발칙한, 그러나 절묘한 도발 전략. ‘아, 무당 제대로다!’
이야기는 진짜와 가짜의 대칭(대립)구도를 큰 틀로 하여 진행됩니다. 이 대칭구도 에는 다양한 변주가 등장합니다. 이름 있는 사람과 이름 없는 사람, 버리는 사람과 버려지는 사람, 예쁜 사람과 안 예쁜 사람, 착한 사람과 못된 사람, 가진 사람과 못 가진 사람, 가족인 사람과 가족 아닌 사람,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 그리고 선과 악, 마침내 삶과 죽음.......
이런 대칭구도는 현실의 부조리를 일으키고 그것을 치밀한 갈등을 통해 지속시키는 공고한 장치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그 극단한 분별이 부질없어지고 마는 시공에서 적멸의 해법이 나타나 이 대칭구도를 뒤흔들고 마침내 무너뜨려버립니다.
소녀는 시종일관 (누구나 다 아는) 어느 한 편에 서 있는 존재이나 스스로 그 경계 지점에 서기도 하고 자기 반대편으로 가로지르기도 하면서 대칭구도를 앙칼지게 쑤시고 가차 없이 베어 갑니다. 마침내 자기의 어떤 이름(유나)의 일부인 나리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나리의 새 아빠를 찔러 죽이고 그 칼에 찔려 뱃속의 아이와 함께 자기도 죽음으로써 진짜와 가짜, 선과 악, 삶과 죽음의 대칭구도를 붕괴시킵니다. 그러나 비참하지도 비장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이 죽음을 통해 그는 평화라는 이름을 얻습니다. 아니 평화 그 자체가 됩니다.
이렇게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간단히(!) 무너뜨릴 수 있었던 소녀의 ‘쿨’하거나 범상치 않은 정신성은 이미 처음부터 도처에 출몰했지만 결정적 형성은 아마도 나리 엄마를 만난 시공에서였을 것입니다.
.......뒤늦게 나리의 엄마라는 사람이 경찰서로 왔다. 온몸을 보석으로 치장하고 세련되게 화장을 한 여자였다. 나리의 엄마는 울지도 않고 소리 지르지도 않고, 모든 일이 그저 조용히 정리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 여자의 무심한 목소리를 듣는데, 심장이 거세게 뛰었다.
저 사람이다.
저기 있다.
나의 진짜엄마는.
거리를 떠돌며 내가 정했던 진짜엄마의 조건은 모두 껍데기고 포장이며 환상이고 거짓말이다.......이제야 알겠다. 그런 사람을 찾기는 너무 쉽고 너무 쉽기 때문에 나는 여태껏 못 찾고 있었다. 너무 흔하니까. 어디에나 있으니까.
거울을 보면, 그 속에도 있다.
.......
전 남편한테서 난 자기 딸이 현 남편한테 무수히 강간당하고 끝내 죽임으로까지 내몰린 현장에서 오직 자기 생존만을 챙기는 그런 엄마가 가짜가 아니고 진짜라는 사실을 홀연히 깨달은 소녀, 바로 그 다음 순간, 자신도 바로 그런 사람이라는 깨달음도 벼락 같이 얻게 됩니다.
더 이상 뭘 찾아야 하나요? 아니, 더 찾을 것은 없습니다. 어디가 더 성장해야 하나요? 아니, 더 성장할 것은 없습니다. 소녀는 더 이상 성장담 속에 있지 않습니다. 하여 이 이야기의 마지막은 참 어른인 소녀의 오도송(悟道頌)이 됩니다. 소녀의 죽음은 독자에게 소녀 시대의 상징적 죽음을 환기시키는 은유가 아닙니다. 소녀의 죽음은 삶과 죽음의 통속한 이분법을 깨뜨리는 관통(貫通) 길을 날렵하고도 토실하게 보여줍니다.
관통! 이는 우리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 바로 평화를 위하여 반드시 지녀야 할 삶의 방향이며 성격입니다. 세상이 들이미는 온갖 해악과 폭력을 ‘착하게’, (실제로는 ‘굴욕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해서는 안 되는 이치를 담고 있는 진실. 그것의 예리하고 강인한 움직임. 소녀의 최후 관통은 바로 목숨입니다. 의도 여부와 상관없이 그 속에서 완성된 답을 얻었으니 과연 통쾌하고 황홀한 관통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