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생명 공동체를 팔아먹은 매판 부역 특권층 인간 신경 회로에는 음모가 흐른다. 김명신 인간 부류에게 음모는 본성(HOMO LAQUEUS)이다. 그가 사악하고 우매한 음모로 종묘를 욕보이더니 이번에는 오세훈이다. 염치도 없고 기탄도 없는 야차 행렬이다. 그래. 오늘 종묘다. 너희는 종묘 신성한 전당을 토건으로 저주해 어제 역사와 오늘 공화국 모두 능욕하라. 나는 종묘 거룩한 숲을 정수로 축원해 너희 콩가루 지배 블록과 콘크리트 쇠말뚝 모두 녹여주마.
그 어느 때보다도 장중하고 치밀하게 걸어 정전과 영녕전, 그리고 추색 장엄한 숲에 경의를 표하고 준비한 정수 올려 예를 다한다. 딱 그 하늘빛 하늘을 우러를 때 내 영혼 웅숭깊이 잿빛 악귀들 녹아내리는 초저주파 음향이 들려온다. 오세훈이 아둔하고 뻔뻔한 오리발로 눙치지만, 종묘 앞 토건은 경희궁 공원 조성과 마찬가지로 미필적 고의를 숨기지 않은 야비한 고의 범죄다. 걸핏하면 지어내는 악어눈물과 질질 흘리는 썩은 웃음일랑 다시는 보지 말자.
오세훈이가 진정 이 생명 공동체에 티끌만 한 관심이라도 있다면 종묘 남쪽 애먼 땅 파 뒤집지 말고 동북쪽 서울대학병원 경내에 터만 남아 있는 경모궁을 복원해야 한다. 경모궁은 사도세자 사당으로서 창경궁 자경전, 월근문(月勤門)과 이어지는 애틋한 서사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그 뒤 변화 과정에 풍요로운 역사를 품고 있는 국가유산이다. 역사는 현재에서 기억되고 기려져야 한다. 둘을 갈라놓는 자들이 바로 김명신·오세훈과 같은 매판 부역 떨거지다.
경모궁 터로 가려면 종묘 떠나 창경궁을 거친다. 창경궁도 참으로 여러 번 갔었는데 그동안 전혀 의식하지 못했던 경이로운 나무 분들이 오늘 뜻하지 않은 행로에서 나를 맞는다. 한 분은 회화나무다. 한 그루 노거수인데 속이 곯아 없어지고 마치 두 그루처럼 서 있다. 다른 두 분은 회화나무와 단풍나무 연리목이다. 200년가량 연령차를 극복한 사랑이 지극하다.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닌 생명 묘리를 서로 달리 제시한 나무 슬기 앞에서 삼가 고개 숙인다.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넘어 경모궁 터에 이르면 말 그대로 황량한 살풍경이 펼쳐진다. 함춘문(含春門)과 석단만 덩그러니 남았을 뿐 방치된 정황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깨진 기왓장, 박석(薄石) 무더기가 자닝스럽다. 한참이나 우두커니 섰다가 하릴없이 김상옥 의사 동상 있는 곳으로 향한다. 나라 망하는데 무력했던 자신이 미워 손을 뒤로 숨겼다는 그 모습이 처연하다. 종묘, 창경궁, 그리고 경모궁 터, 마침내 여기 이른 내 손은 과연 어디에 둬야 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