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이나 물 걷기에서 갔던 길 되돌아오기를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눈 덮인 숲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어쩔 수 없이 되돌아온 도봉산 회룡(回龍) 계곡, 능선 가까운 구간에 사실상 길이 없어 위험하다며 내려오던 사람들이 혼자 오르는 나를 극구 말려 되돌아선 북한산 숨은 계곡을 빼고는 그런 적이 없다. 같은 일을 되풀이할 때 느끼는 진부함과 아뜩함을 싫어하는 탓이리라.

 

오늘 도봉산 무수골에서는 가던 길을 기어이 되돌아오고야 만다. 물소리 들으며 어느 만큼 골짜기를 걸은 뒤 비스듬히 능선으로 올라가 내려오는 길을 지도로 확인했으나 실제에서는 골짜기에서 능선으로 진입하는 길을 찾을 수 없다. 물론 이런 일 한두 번 겪지 않았고 그때마다 길을 만들며 나아갔지만, 오늘은 그만둔다. 돌길 걸을 때 자꾸 균형을 잃는 몸이 문득 감지돼서다. 나이 듦은 이렇듯 우연히 별안간 몸 느낌으로 들이닥치는가보다. 덜컥 겁나고, 더럭 서럽다.

 

짐짓 늙다리 걸음을 지으며 허든허든 무수천을 따라 되돌아온다. 몇 걸음도 채 걷지 않아 갈 때 미처 보지 못한 작디작은 생명 풍경과 맞닥뜨린다. 거기서 생각이 급전복한다. “가는 길과 되돌아오는 길은 같은 길이 아니구나.” 내가 풍경을 맞는 시선과 풍경이 나를 맞는 시선이 다 다른데 어찌 같겠나. 되돌아오기, 마다할 일 아니다. 풍경이 되풍기는 냄새를 경청해야겠다.


경청이라는 말은 풍경이 나를 다시 불렀다는 뜻을 담는다내가 보았으나 보지 못했고들었으나 듣지 못했던 세미한 풍경이 나를 돌려세우는 길은 냄새뿐이다물론 냄새 또한 맡지 못한 채 지나쳤으나저 원초 감각으로 이끄는 신성한 힘이 다름 아닌 경청이다우리 선조가 일찍이 냄새를 듣는다즉 문향(聞香)이라는 표현을 창안한 곡절이 여기 있다냄새를 경청하는 일에는 마음 모심과 몸 기울임이 함께 작동한다그저 이 곱고 촘촘함만으로도 세계를 뒤집는다.


되돌아오는 길에서야 만난 손톱보다 작은 버섯

 

손톱보다 작은 버섯이 장엄을 두르고 있는 비경에 살 떨며, 숲을 살짝 벗어난다. 자연 그대로인 잔치국수 파는 밤나무집으로 향한다. 국수 나오기 전 들이켠 막걸리 한 잔에 내 영혼이 짜르르해진다. 주인장과 안부를 주고받으며 잔을 연거푸 비우는 사이 잔치국수는 국물만 남는다. 햇빛이 설핏해지자 일어나 남은 숲길을 간다. 무수골 잔향이 바람만바람만 따라온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