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내희 님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그대로 싣는다
제가 지식순환협동조합(지순협)의 수익 사업 일환으로 강좌를 하나 진행합니다. 이전에 지순협의 대안대학에 학장으로 참여한 적이 있는데 최근에 지순협 재정 사정이 좋지 않아 조금이라도 힘을 보태고자 재능 기부를 하려는 것입니다. 아래 웹자보 내용을 보시고 관심 있는 페친께서는 수강을 검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웹자보를 널리 퍼뜨려 주셔도 고맙겠습니다.
이번 강좌의 제목은 '맑스와 셰익스피어--자본주의와 연극'입니다. 제가 이런 강좌를 기획하게 된 것은 원래 르네상스 영문학이 전공이었고, <자본>, <그룬트리세>, <잉여가치학설사>, <독일 이데올로기> 등 맑스의 저작 완독 모임을 지난 7-8년 진행해온 점 때문입니다. 맑스를 꼼꼼히 읽는 동안 그가 셰익스피어를 깊고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두 대가의 연관성에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래에 첨부하는 강좌 기획 취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맑스와 셰익스피어—자본주의와 연극' 강좌 기획 취지
강사: 강내희 (전 중앙대 영문학과, 대학원 문화연구학과 교수)
맑스는 정치경제학 비판을 정립한 혁명이론가로 유명하지만, 전형적인 19세기 형 서구 교양인이기도 하다. 맑스가 애호한 작가로는 아이스킬로스, 오비디우스, 셰익스피어, 괴테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셰익스피어에 대한 맑스의 관심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깊었다. 부인 예니와 교제할 때부터 그는 장인이 될 루트비히 폰 베스트팔렌의 영향을 받아 셰익스피어에 푹 빠졌다고 알려진다. 폰 베스트팔렌은 호메로스와 셰익스피어의 작품 다수를 암송할 수 있었다고 하고, 맑스의 부인 예니와 막내딸 엘레노어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전문 낭송자, 연구자로 전해지고 있다. 물론 이 강좌가 주목하는 것은 평생 셰익스피어의 희곡 작품을 옆에 두고 읽은 맑스 자신이다. 그는 단순한 애호가 수준을 넘어서 탁월한 셰익스피어 전문가였다. 맑스의 저술을 살펴보면 셰익스피어가 다룬 다양한 주제를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관한 자신의 연구와 분석에 심도 있게 활용한 점이 명확히 드러난다. 그가 셰익스피어 애독자가 된 것은 그렇다면 자신이 규명하고자 한 자본주의의 진상을 근대 초기의 사회상을 극화한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일 공산이 크다. 이 강좌에서 우리는 맑스가 어떻게 셰익스피어를 애호하게 되었고, 그의 셰익스피어 사랑과 지식이 얼마나 깊었으며, 그것이 그가 평생 추구한 정치경제학 비판 작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두 대가가 제출한 ‘유령학’을 통해 그들이 근대성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등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 강좌는 아래와 같이 5강으로 구성된다.
제1강. 셰익스피어의 애독자 맑스: 맑스와 셰익스피어의 관계; 맑스의 어린 시절; 부인 예니의 가족; 장인 루트비히 폰 베스트팔렌의 영향; 맑스가 셰익스피어를 탐독한 까닭; 근대 세계 탐구자로서 셰익스피어와 맑스; 맑스의 저작에 나타난 셰익스피어의 흔적; 맑스의 셰익스피어 활용 방식
제2강. ‘문학자’ 맑스와 자본이라는 메두사: 독일 낭만주의의 후예 맑스; 페르세우스가 되어 자본주의 지옥의 탐사에 나선 맑스(“너의 길을 가라”); 메두사의 머리와 맑스가 잡으러 나선 자본이라는 ‘우두머리(Kapital)’; 현상과 본질에 대한 햄릿의 태도(“저는 ‘보인다’는 모릅니다”); 자본주의의 진실 규명을 위한 맑스의 기획(정치경제학 비판)
제3강. 근대 세계의 탐구자 셰익스피어와 맑스. 봉건적 생산양식의 붕괴와 근대적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등장; 르네상스 영국에서 근대적 연극 장르의 출현; 근대적 개인의 자아 형성과 역할 연기; 뒤죽박죽인 세상 또는 상품생산 사회에서 진실 감별; “세상은 무대”―전형적 근대인 햄릿; 근대 세계체계 최고의 비판자 맑스
제4강. 맑스와 셰익스피어의 유령들.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유령이 제기하는 문제들; 아버지 유령에 대한 햄릿의 태도; 자본주의 사회의 유령들 또는 판타스마고리아; 『자본』에서 맑스의 물신숭배 비판; 현상과 본질의 관계—셰익스피어와 맑스에게서 진실의 문제; 근대성의 이해와 ‘유령학’의 문제설정
제5강. 자본주의라는 무대. 자본주의 극의 제1막과 제2막—가치의 생산과 실현; 자본주의 무대 위 햄릿으로서의 맑스, 자본주의적 생산 담지자로서 자본가와 노동자 또는 자본주의 극의 등장인물들; 자본주의를 배역으로 등장시킨 무대로서 『자본』 또는 연출가 맑스; 『자본』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들과 그 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