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놈 제국한테 멸문지화를 당했지만, 집안 어른들은 성씨 자부심이 강해 여러 경로를 통해 어린 시절 내게 그런 서사를 전해주곤 했다. 청소년기 한동안 거기 심취했던 기억이 새롭다. 진주강씨는 대성(大姓) 가운데 유일하게 고구려계다. 시조인 강이식 장군 고구려부터 고려로 이어지면서 무가(武家)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그 대표 인물이 다름 아닌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다. 그래서 강감찬 장군은 내 기억 지성소에 오래 굳게 머물러온 영웅이다.

 

비록 무지렁이 부역자에 지나지 않으나 내가 나라 걱정할 때 걷곤 하는 길이 바로 강감찬길이다. 집에서 나와 대부분 숲길을 걸어 낙성대-강감찬 생가터-로 간다. 묵념·기원을 올린 다음 안국사-친일 매국노 박정희가 지은 강감찬 사당- 경내 낙성대 삼층 석탑으로 향한다. 석탑 꼭대기 장식 부위는 왜놈이 훼손해 사라지고 없다. 게다가 박정희가 본디 낙성대에서 멋대로 여기다 옮겨놓았다. 아픈 역사를 되새긴 다음 돌아 나와 관악산으로 향한다.

 

낙성대에서 출발해 큰 산줄기 타고 관악 올라가는 첫 숲에다 나는 강감찬숲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어린 강감찬이 우뚝 솟은 관악을 바라보며 영웅 기상을 키워갔을 그 숲을 천천히 걷는다; 앉아서 잔잔히 생각에 잠긴다; 풀과 나무, 그리고 버섯을 살피며 나아간다. 얼마 뒤에 곧장 올라가면 관악 큰 봉우리고 오른쪽으로 틀면 완만히 돌아 내려와 다시 낙성대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오른쪽 길을 따라 낙성대 건너편 또 다른 길에 가 닿기로 한다.

 

그 또 다른 길은 이순신길이다. 소년 이순신이 한양서 내려와 배를 타고 노량진에 닿은 다음 살피재 넘고 봉천천 건너 선영-여기를 나는 이순신숲이라 부른다-에 이르러 제사 올리는 광경을 상상한다; 묘역에서 내려다보이는 건너편 삼층 석탑이 인헌공 강감찬 장군을 기리고 있다는 사실을 안 소년 이순신은 돌아가는 길 낙성대에 들른다; 구국 영웅 기상을 품어 키운다. 두 영웅이 걸었던 길을 이어 걸으며 나는 자주·민주를 빌어마지않는다.


충부공 이순신 5대조 정정공 이 변 부부 묘-낙성대 맞은편 나지막한 산에 있다

 

요즘처럼 나라가 요동할 때는 내 삶도 따라 요동한다. 숲으로 들어가는 발길은 인간사를 끌고 들어갈 수밖에 도리가 없다; 도시 골목으로 나오는 발길은 숲 생기를 안고 나올 수밖에 도리가 없다. 아프고 슬프다. 얼마만큼만이라도 성공 거둔 사람은 주파수 높은 소리를 내지만 내가 쓰는 글 쪼가리는 자루 뒤집어쓰고 눈 부라리는 꼴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 그래서 그런 글 쪼가리라도 증언으로 남기기 위해 강감찬길에서 이순신길까지 걷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