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트위터 읽다가 남태령으로 행로를 정한다. 날씨가 제법 매섭다. 밤을 지새운 사람들은 얼마나 추웠을까. 저체온증으로 쓰러진 사람이 있다는 소식을 들으며 미안한 생각이 더욱 깊어진다. 사당역에서 내려 걸어 올라간다. 수많은 공회전 차량으로 대기 상태가 말이 아니다. 남태령역으로 다가가자 쩌렁쩌렁한 마이크 소리가 들려온다. 시민 발언, 구호, 연호, 박수, 노랫소리가 어우러지며 관악산과 우면산 발치를 뒤흔든다.
경찰 버스로 왕복 8차선 과천대로를 가로막아 놓았다. 그 너머 붉은빛 트랙터들이 마치 장수처럼 서서 금방이라도 내달릴 듯한 긴장감을 자아내고 있다. 늘 그렇듯 농민도 냅다 걷어찬 윤석열을 체포하겠다고 용산을 향해 온 농민과 그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추위에도 아랑곳없이 차가운 아스팔트 위에 앉고 서서 뜨거운 열기를 토해내는 중이다. 사회자가 간간이 지원 물품을 소개하면 열기는 한층 고조된다. 축제도 이런 축제가 없다.
각종 단체 깃발이 펄럭인다. 누구나 잘 아는 딱딱한 조직은 물론 말랑말랑한, 심지어 장난기 가득한 알 수 없는 단체 깃발로 하늘은 물결이 된다. 하지만 여기도 홀로 나온 10대, 20대가 곳곳에 별처럼 반짝이고 있다. 한쪽 구석에 앉아 마른 빵을 먹는 소녀가 있다. 나는 보온병을 꺼내 물 한 컵을 건넨다. 해맑게 웃으며 받아 마시고 돌려준다. 나는 엄지척을 해 보이고 일어선다. 저 나이 때 나는 저 아이처럼 행동할 수 없었으므로.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소식을 알리면서 시간을 살핀다. 점심 식사 하기 위해 따라갈 동선을 생각한다. 지원된 음식을 나같이 부끄러운 늙은이가 축낼 수는 없는 노릇이다. 텅 빈 과천대로가 한눈에 들어온다. 또 언제 어떻게 이 차로 한가운데를 걸어 남태령을 넘을 수 있겠는가. 나는 망설이지 않고 1차선을 따라 걸어 올라간다. 과천 선바위역 근처 음식점에서 점심 먹기로 하고 고갯마루를 향해 간다. 생각보다 남태령은 나지막하다.
남태령 본디 이름은 여우고개였다. 능행 길에 정조가 묻자 차마 그대로 아뢸 수는 없다고 생각한 과천 이방이 ‘남쪽 큰 고개’란 그럴싸한 이름을 급조해 올린 뒤부터 이렇게 불렀다고 전한다. 어감이 그리 나쁘지는 않으나 백성 실제 삶과 얽힌 서사를 도려낸 이름은 본디 것으로 돌려놓아야 한다. 깊은 숲이 고개 양쪽에 있어 실제로 여우가 많이 살았기 때문에 그리 이름했다니 말이다. 여우고개가 남태령보다 더 정겹고 사랑스럽지 않나.
생각보다 나지막한 여우고개를 예상보다 일찌감치 넘어 시간이 남는다. 나는 행로를 바꾼다. 선바위역 가기 전에 우면산 서쪽 능선으로 올라가 과천대로와 평행한 숲길을 걸어 다시 남태령역으로 간다. 산 넘어 이따금 아스라이 들리는 함성을 향해 간다. 돌아가 보니 사람이 더 늘어나 있다. 사당으로 나와 간단히 점심을 먹고 또 남태령역으로 돌아간다. 사람이 또 더 늘어나 길을 가득 메운 행렬은 고개 쪽 경사를 따라 부쩍 길어진다.
오늘 뭐가 돼도 되겠구나 싶다. 가족과 한 저녁 약속 때문에, 해 떨어지기 전 남태령역을 떠난다. 역 안 한 귀퉁이에 오도카니 홀로 앉아 있는 여고생에게 묻는다. “어떻게 혼자 올 생각을 했어요?” 그가 배시시 웃으며 답한다. “그냥요.” 그냥 민주주의다. 얼마 뒤 길이 열렸다는 소식을 듣는다. 농민에게도 1030 여성에게도 감사한다. 오늘부터 남태령, 아니 여우고개는 130년 만에 전봉준이 부활한 “우금티”다. 명신이네는 큰일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