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은 참으로 다양한 인간 행태를 관찰할 수 있는 공간이다. 대부분 스마트폰 들여다보는데 무슨 말인가 하겠지만 대부분 자던 풍경과 비교하면 뭐 꼭 그렇지만은 않다. 똑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각양각색이기 마련이다. 요즘 내가 궁금해하는 색다른 풍조 하나가 있다. 많은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신경 안 쓰고 넘어갈 문젠데, 옆 기대기 이야기다.
전동열차 맨 앞이나 뒤 칸 가로 벽은 보통 너덧 사람이 기대서서 간다. 언제부턴가 기대는 방식이 달라졌다: 등을 대어 뒤로 기대지 않고 한쪽 어깨를 대어 옆으로 기댄다. 내가 이런 기대기를 불편하게 느껴서 유심히 살피게 됐다. 내가 뒤 기대기로 섰는데 어느날 누군가 옆에서 내 얼굴-실제로는 그 사람 스마트폰-을 보는 자세로 기대는 바람에 촉발된 일이 분명하다.
며칠 동안 궁금해했다: 왜 사람들이 저런 옆 기대기로 바꾸었을까? 정답 없는 문제일 수도 있지만 내 결론은 코비드-19가 몰고 온 불안이 폐쇄 의식을 증폭시켰다, 다. 옆 기대기를 하면 뒤 기대기보다 폐쇄 면이 배가된다. 뒤 기대기는 등과 가로 벽이 폐쇄 면 하나를 이루지만, 옆 기대기는 어깨와 가로 벽으로 하나, 타인에게 돌린 등으로 둘, 이렇게 폐쇄 면이 늘어난다.
폐쇄 면을 늘려 자신을 보호하려는 이 본능 또는 무의식은 팬데믹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 심리와 맞닿는다. 마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 대부분은 불안 지수가 높다. 불안 지수가 높은 사람이 위험에 더 잘 대비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대비 능력이 떨어지는 탓에 불안이 증폭된다고 거꾸로 생각하는 게 진실에 더 가깝다.
옆 기대기 풍조가 우리 사회에 어떤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경향이 계속되고 증강될 때 공동체성은 약해진다는 추론이 불가피하다. 아니다. 그 반대다. 제국이 부리는 신자유주의 주술에 걸린 개인이 저렇게 고립되고 소외되는 거다. 사소한 문제처럼 보일지 몰라도 이런 풍조가 더 결 지고 겹 지면 평범한 인간 모두가 참혹함으로 내몰리고 만다.
문제 삼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문제 삼기 위해 섬세하고 치밀하게 사유하는 습관부터 길러간다. 대충 사유하고 대번 판단하면 대병 들어 죽기 마련이다. 이미 우리는 그 길로 너무나 깊숙이 들어왔다. 이제부터라도 죽을힘을 다해 살길을 찾는다. 제국이 풀어 놓은 악한 주술을 확인하고, 내가 거기 걸려 있음을 직시하고, 함께 벗어나서, 팡이실이 선한 주술로 번져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