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을 이야기하면서 청암동 부군당 문제에 주목한 바 있다. 부군당은 마을 신당이라고 간단히 언급만 했었다. 부군이 부군(府君/府群/符君), 부근(府根/付根), 심지어 부강(富降)으로까지 한자화된 사실에서 부군이 본디 우리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부군당을 신봉하는 마을 사람들은 붉은으로 발음한다고 한다. “붉은밝은은 같은 어원에서 왔으므로 해, (으로 표상되는 존재와 상징)을 숭배하는 무속 신앙과 연결된다는 주장이 있다(양종승). 부군을 중국 무슨 인물 이름에 귀속시키거나 한자 의미를 추적하는 방식보다 훨씬 더 설득력 있다고 본다. 이런 이치는 국사봉에도 통한다.

 

숲에 빙의되어, 그러니까 미쳐서드나들었던 기억을 새록새록 떠올릴수록 소름 끼치는 기억이 쟁여져 간다. 다시 하라면 대뜸 낙장거리할 듯하다. 최근 일요일에 늘 계획이 없는 까닭이다. 오늘도 아무 생각 없다가 버스 타기가 싫어서 그냥 걸어 들어갈 수 있는 국사봉으로 발길을 옮긴다. 숲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왜 국사봉일까, 생각해 본다. 국사봉 북쪽 발치에 양녕대군 묘가 있어 전해오는 이야기는 그가 여기서 아우가 다스리는 나라를 걱정했다고 국사(國思)라 했다는 내용이다. 억지스럽다. 무학이 비보 사찰 사자암을 창건하자 이태조가 그를 기려 국사(國師)라 했다는 말도 있다. 이 또한 억지스럽다. 벼슬아치나 먹물들 유희에 가깝다.



부군이 붉은에서 왔듯, 국사는 굿에서 왔다는 게 내 생각이다. 이는 인왕산 국사당이 굿당임과 같은 이치다. 전국에 있는 여러 국사봉 모두 그렇다고 생각한다. 우리말과 한자 말이 이런 식으로 왜곡, 전도된 예는 헤아릴 수조차 없이 많다. 말이 나왔으니 다 하고 간다. 국사봉을 우리말로 하면 굿 봉우리가 될 테고, 부역 국어학자들은 봉우리의 봉이 봉()에서 왔다고 주장할 테다. 아니다. 봉우리는 순우리말이다. 봉우리와 봉오리는 다른 말이지만 같은 곳에서 나왔다고 봐야 한다. “봉긋하다를 생각하면 대뜸 알 수 있다.



나는 요즘 굳세고 바른 마음으로 우리말을 공부하는 중이다. 제도 교육을 통해 배워 70년 가까이 써온 내 부역 국어 체계에 크게 금을 내려 함이다. 관련 책과 자료를 살피는 동안, 지난해 <말글 부역 서사>를 쓰면서 마주쳤던 분노와 죄책감이 수시로 들이닥치는 바람에 견뎌야 할 스트레스가 엄청나다. 이 나이에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다가도 사람 자람과 반제국주의 싸움에 끝은 없다 깨우치며 다시 길을 나선다. 글씨체를 바꿨는데 글은 왜 못 바꾸겠는가 말이다. 아직은, 여기 내 글에도 엄연히 들어 있는 부역 풍경조차 엄밀히 걸러내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죽는 날까지 멈추지 않으려 한다.

 

늘 그랬듯 산마루로 가는 길 마다하고 허리를 크게 한 바퀴 돌아 숲을 나온다. 다음 숲은 강감찬 숲이다. 스트로브 잣나무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숲을 갈피 살펴 걷는다. 거의 다 돌았을 무렵 지니고 온 도토리 생각이 불현듯 난다. 적당하다고 여기는 곳에 심는다. 이들이 다 싹 나서 큰 나무로 자라리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 썩어서 흙이 되더라도 돌아갈 곳으로 가는 것이니 나는 그저 오늘 여기서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다. 도토리 심기와 우리말 공부는 본성이 같다. 돈이나 명예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압제와 살해로 세상을 삼킨 제국에 맞서 작디작은 팡이실이 한두 올 일으킬 뿐이다. 그 한두 올이 내 천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