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여러 분야에서 일어나는 제국주의 부역 문제를 개인적 숲 걷기와 결합한 서사로 빚어 온 지 제법 됐다. 이제 한 동강 매듭지으려 한다. 마지막 발걸음은 개화산, 거기 있는 국립국어원이다. 나나보조 이야기가운데 아베의 축원이라는 부제를 지닌 공시적 이야기 첫 번째가 <말글 부역 서사>고 거기서 국립국어원 이야기를 했다. <반제국주의 녹색의학, 말을 혁명하다>에서 이 이야기를 다시 했다. 그만큼 중요하다. 마침내 여기서 마무리 이야기로 삼음으로써 바로 이 일이 더없이 중요함을 명토 박는다.



개화산 신목

 

공자 정명(正名)을 후대 사람이 해석할 때 대부분 실()과 부합하는 명() 자체에 집중하지만, 엄밀 문맥은 그 정명이 근본적으로 올바른 말글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에 주의하라고 일러준다. 여기에 기대지 않더라도 문명 실재로서 인간이 말글에 그 바탕을 둔다는 진실은 상식에도 앞선다. 말글살이 고갱이가 썩어 문드러진 권력 패거리가 나라를 대놓고 말아먹는 오늘날 이 문제와 죽기 살기로 씨름해야 한다. 저들이 싸지르는 말글 때문에 공동체 정신 생명이 궤멸하고, 문화 미학이 비속함으로 미끄러져 간다.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반말·비속어·욕설을 거리낌 없이 내뱉어도, 방송 매체가 영어·일어식 낱말은 물론 불필요하고 잘못된 외래어·외국어에 올라타도, 뜨르르한 지식인이 전문가 사투리로 처바른 말글을 쏟아내도 개화산 기슭 국립국어원에는 기괴한 정적만 감돈다. 국립국어원장이 차관급도 못 되는 1급 공무원일 뿐이어서 그런가. 물론 그렇기도 하겠지만 적극적·능동적으로 부역하는 측면이 크다. 피상적이고 진부한 업무 말고 이 언어공동체가 처한 식민지적 상황을 타개할 책무에는 무관심하다고 본다.

 

달포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국립국어원 업무 보고를 받은 뒤에 이렇게 말했다고 전한다. “국어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며 문화 창조의 원천이자 최고의 문화 자산이다. 우리 말과 글을 품격 있게 사용하는 문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 여기에 국립국어원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기자는 덧붙인다. 이 얼마나 훌륭한 발언이며 정확한 보도인가. 이 말에 녹아든 일본식 어법과 어휘를 장관도 기자도 모를 만큼 짙은 식민지 그림자를 밟고서 우리는 천연스럽게 국어가 지니는 위상과 품격을 말한다, 국립국어원이라서.

 

물론 내 말과 글에도 오욕이 우글거린다. 나는 모국어 근본주의나 순혈주의를 견뎌내지 못한다. 다만 나 또한 부역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진실을 온몸으로 견딜 뿐이다. 깜냥대로 있는 힘 다해 똥 먹은 입에서나마 똥 냄새를 토해내지 않으려 찰나마다 애쓸 따름이다. 이런 애씀을 모으고 다독여 식민지 말글살이를 벗어날 수 있도록 민중 앞에 서는 일이 국립국어원 책무가 아닌가. 한류 운운하며 이벤트나 벌이지 말고 사전 하나라도 제대로 만들어야 하건만 피상적이고 진부한 부역 벼슬아치에겐 어림없는 일이다.

 

국립국어원이 만든 표준국어대사전 수준은 표준적으로이렇다. “첫날: 어떤 일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날. 시작: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최종규 님이 우리말 꽃에서 비판한 대로 이 풀이는 돌림 풀이다. 사전이 지녀야 할 으뜸 가치를 저버린 짓이다. 게다가 시작이란 말은 일본에서 들어온 한자 말이다. 쓰지 말든가 최소한 지적은 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몰라서 그랬다는 건 말이 안 되고 알면서도 그랬다면 더욱 용서할 수 없다. 이 국립국어원에 무슨 역할을 기대하겠나.

 

국립국어원 앞에 망연히 섰다가 정화 의식을 하고 돌아서는데 문득 개화산 봉수대 이야기가 떠오른다. 임진왜란 때 순천에서 올라오는 봉화를 받아 남산 제5 봉수대로 전했다 한다. 왜군 침략을 알려주던 산마루 아래 기슭에 똬리 틀고 앉아 왜 말로 제 말 풀이를 하고 자빠진 토착 왜구 집단 털끝 하나 건드리지 못하는 내 꼬락서니가 다시없이 추레하다. 걸어서 맞서고 말해서 진실 밝히는 일이 그나마 내가 모멸을 견디는 알량한 길이다. 더 보람된 일을 하고 싶지만, 가장자리에 틀어박혀 숨만 쉬는 무지렁이 주제라···



돌이켜보면 내가 무지렁이 부역자라는 사실을 통렬하게 일깨웠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반제국주의 전쟁 주체로 드러냈으므로 숲이야말로 이 푸른 별에 범주적 전선을 일구어낸 장본이다. 앞으로도 숲에 귀 기울이며 살아갈 수밖에 없으리라. 거기서 죽임당한 생명, 생명 아니라 없는 존재로 여겨지는 비생명 주체를 만나 반제국주의 통일전선에 깃들고 파닥이리라. 남은 날이 비록 많지 않으나, 상상하지 못할 변화를 바라는 일에서 물러서지 않겠다. 개화산을 떠나면서 걸음마다 홀가분해지는 게 꼭 마음만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