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도산 마지막 이야기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걸은 뒤 따끈한 국수로 점심을 먹으며 저녁때까지 남은 시간엔 어디를 걸을까 생각한다. 가장 먼저 떠오른 곳은 개화산 국립국어원이다. 시간상 맞지 않아 다음으로 미룬다. 그다음으로는 관악산 국사편찬위원회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27/pimg_7816061154203615.jpg)
내가 국사편찬위원회를 떠올린 까닭은 특권층 부역 지식인 가운데 사학계 양대 아이콘인 이병도와 신석호에 대한 사전 지식 때문이다. 그들이 해방 후 무슨 짓을 했는지 소상히 알지 못하지만, 국사편찬위원회에도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으리라는 짐작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잠시 자료를 찾아보다 이헌동 님이 『이병도·신석호는 해방 후 어떻게 한국사학계를 장악했는가』(김병기)라는 책에 관해 쓴 글과 마주친다. 그 글만으로도 내가 국사편찬위원회를 반제국주의 걷기 대상으로 삼을 이유가 차고 넘친다.
특히 신석호, 그는 국사편찬위원회 전신인 국사관 수장이었다. 그런데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역대 위원장 소개란 첫 칸에는 “국사관장 신석호(1946.3.23.~1949.3)”가 있고, 같은 칸 아랫부분에 작고 옅은 글씨로 “문교부장관 겸직 위원장(1949.03~1965.01)”이라고 쓰여 있다. 그 기간에 문교부 장관은 이름만 걸어놓고 신석호가 사실상 위원장 노릇을 했다는 의미인가. 1990년 간행된 <국사편찬위원회사>는 신석호 재임 기간을 1929년 4월~1965년 1월로 적시했다(1929년은 신석호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 근무를 개시한 해다). 이 기록은 우리 의문에 대한 답일 뿐만 아니라, 국사편찬위원회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를 이어받았다고 하는 정체성 고백이기도 하다.
가슴에 날 세워 관악산 남동쪽 기슭으로 간다. 익히 아는 길이라 눈 덮인 관악산을 바라보기도 하며, 가로수에 돋아난 버섯 사진을 찍기도 하며 천천히 국사편찬위원회로 다가간다. 도착해 정문 경비실 직원에게 안으로 들어가 돌아볼 수 있느냐 물으니 안 된단다. 잠깐 사진 한 장만 찍겠다고 하자 안으로 들여보내 준다. 사진을 찍고 나와 크게 돌아 관악산 둘레길로 접어든다. 건너편 청계산이 바라다보이는 기슭에 이르러 국사편찬위원회가 깔고 앉은 아프고 슬픈 모순을 곱씹으며 석부(石符) 하나를 세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227/pimg_7816061154203616.jpg)
이헌동 님은 글에서 짝퉁 진보역사학계가 어떻게 내부 부역을 자행하는지 통렬하게 비판한다. 제 나라 역사를 부역질 도구로 써먹는 이 간악한 패거리와 나는 과연 어떻게 마주해야 할까. 이 알량한 글 쪼가리 저들이 볼 리 없으니 내 마주함이란 결국 외눈길일 뿐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