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정상 진료하느라 미룬 대청소를 초이튿날 한다. 한 시간 반에 걸쳐 진공청소기로 해묵은 먼지와 냄새를 샅샅이 걷어낸다. 갑진년 맞이다. 느지막이 집을 나서 광화문 교보문고에 들러 책 한 권 품고, 중학천 버드나무-수송동 소나무-조계사 안팎 회화나무-관훈동 이이 집터 회화나무로 이어지는 도심 나무 순례를 한다.


 

점심 먹고 나서 천천히 미도산으로 들어간다. 익숙한 자락길을 거쳐 바로 누에 다리로 향한다. 다리 위에서 서초경찰서를 사진에 담는다. 몽마르트르 공원 남쪽 끄트머리에서 대검찰청을 사진에 담는다. 공원을 나와 동광로와 서초대로로 돌면서 대법원을 사진에 담는다. 이어 반포대로로 들어가 소로를 따라가면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서울중앙지방법원을 사진에 담는다. 서초중앙로 고개로 올라가 29길로 돌아들며 서울회생법원을 사진에 담는다. 이는 사법 권력 기관을 보행으로 포위하고 사진으로 체포하는 의례 행위다. 마침내 미도산 출발 지점으로 다시 돌아와 외끌이 저인망에 저 눈먼 특권층 부역 떼거리를 가두어 버린다.


 

미도산 언저리를 떠돌며 살아온 내 삶이 머금은 서사와 오늘 비로소 본격 접속한다. 항일무장투쟁 전사인 내 증조부가 일제 군대에 생물학적으로 살해당했다면, 나는 부역 사법 권력에 사회경제적으로 살해당했다. 저들과 맞서 내가 싸우는 길은 법도 총도 아닌 팡이실이, 그 영적 네트워킹이다. 뼈아픈 경험과 뼈저린 깨달음 사건을 모두 함께한 미도산은 말한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진 자 그 돌부리를 짚고 일어선다. 나는 잔잔해서 격동에 찬 걸음걸이로 서초중앙로 건너 서초대로를 따라간다. 교대역 지나 조금만 더 걸어가면 15년 전 권력이 짓밟은 내 옛 진료소가 생때같은 기억으로 변함없이 서 있다. 저곳이 바로 내 빈 무덤이다.


 

한참을 서서 바라보다가 사진에 담는다. 애도다. 기림이다. 그대로인 것은 그대로 없어진 것은 없는 대로 보듬으며 옛길을 걸어 도로 미도산 초입에 닿는다. 오늘 팡이실이 표지를 참나무 둥치에 남겨 간절한 비원으로 심어둔다; 죽어서도 이 참담한 부역 역사와 서사를 잊지 않기로 새겨둔다. 일몰 타고 일상으로 돌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