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본동 백사마을은 마지막 남은 달동네라 불린다. 지도만 봐도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대뜸 알 수 있다. 백사마을은 남북으로 곧게 뻗은 불암산 남서쪽 자락 북서향 비탈에 자리한다. 그 앞으로는 너른 마들평야가 펼쳐져 있다. 마들평야와 백사마을 사이를 만만치 않은 야산(산책로 이정표에 누군가 손 글씨로 덧쓴 금화산이라는 이름이 있음) 하나가 갈라놓지 않았다면 운명은 지금과 전혀 달랐으리라. 금화산은 백사마을을 고립시켜 마지막까지 토건 세력이 주목하지 못하도록 작용했음에 틀림없어 보인다. 어쩌면 백사마을이 생기게 된 배경에는 이런 정치·경제적 지정학이 처음부터 작용했을는지도 모르겠다.

 

백사마을은 1960년대 도시 정비사업을 밀어붙였던 박정희식 토건 독재 소산이다. 청계천, 영등포, 서대문 일대 판자촌을 때려 부수고 그 주민을 강제 이주시킨 곳이 바로 백사마을이다.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이었기에 백사마을이라 했다는 설이 있을 만큼 삶의 터전으로 보기 어려운 곳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가 버린 사람들은 스스로 더불어 공동체 마을을 일구기 시작했다.

 

먼저 온 사람이 평지 가까운 아래부터 집을 짓고 그다음에 온 사람이 차례로 높은 곳으로 올라가며 잇대어 집을 지어 마지막에는 산등성이까지 900가구를 이루었다. 나중 짓는 사람은 먼저 지어진 집 일조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자투리땅을 살려 자연스럽게 이웃이 만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훗날 이런 생태를 배려해 서울시가 보존형 재개발 사업을 기획했지만, 별별 우여곡절을 겪으며 뒤엉켰다. 아직도 갈등은 풀리지 않고 있다. 보존책이 온전하지 않았다, 정치 변화에 휘둘렸다, 주민대표자회의 간부들이 거액을 횡령했다,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린 주민 입에서 흘러나온 말들이다.

 

조폭 통치 판에 여당이 뭉그러지자, 보스 오른팔인 현직 법무부 장관이 장을 맡은 웃기는 비상대책위원회에 반해 백사마을 주민 비상대책위원회는 얼마나 눈물겨운가. 쫓겨와서 자리 잡은 곳에서 다시 쫓겨나야 하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은 말 그대로 비상인데 대책이 없으니 말이다. 900가구 가운데 70가구 남아 터전을 지키면서 이길 수 없는 싸움을 기약 없이 하고 있다. 이야기 나누는 20분 남짓한 시간 동안, 수시로 흩어져 허공을 떠도는 주민 눈동자를 보며 내 가슴에는 눈물이 한가득 차오르고 있었다.

 

내 가슴속 눈물은 결코 연민이 아니다. 백사마을 풍경은 내가 1010년을 살았던 동소문동 616번지 달동네와 많이 닮았다. 아니 근본에서 같다. 거기서 나는 재개발에 걸려 쫓겨가는 사람, 폐허가 되어가는 집을 목격하며 거의 마지막까지 버티다 떠났다. 그 무섭도록 슬픈 기억은 이내 도화선이 되어 그 뒤에도 두 번이나 재개발에 걸려 쫓겨났던 기억을 가차 없이 터뜨렸다. 시뻘건 공가 딱지가 나붙고, 버려진 고양이가 길냥이 되어 밤마다 울부짖고, 마침내 전기와 수도가 끊어지는 지경에 이르렀을 때 들이닥치는 공포와 분노, 그리고 절망감은 실로 형언하기 어렵다.

 

이 공포와 분노, 그리고 절망감은 제국이 일으키는 정착형 식민주의 절멸 전쟁에서 북미대륙 토착민이 느낀 감정과 본질이 다르지 않다. 실제로 이런 토건형 재개발에서 살아남는 원주민은 10% 미만이다. 분담금을 감당하지 못해 헐값 딱지를 팔고 떠날 수밖에 없다. 권력과 업자는 바로 그 점을 노리고 사업을 벌인다. 주택 공급 정책이라 떠벌이지만 빈 땅에 짓는 것도 아니고, 무주택자에게 혜택이 실팍하게 돌아가는 것도 아닌 협잡이 그 요체다.

 

나는 폐허로 변해가는 백사마을 골목 골목으로 들어가 시린 풍경을 사진에 담는다. 자국 정착형 식민주의를 시전하는 허울 국가 부역 행위에 대한 증언이자 제국주의에 맞서는 항쟁이다. “찰칵소리마다 떠난 이들과 땅과 숲을 소환해 전우로 삼는다. 마을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까지 보듬은 뒤 불암산으로 들어간다. 길 없는 숲을 헤치기도 하고 왔던 길을 되돌아가기도 하며 중계동, 남양주시, 공릉동 경계를 넘나든다. 숲에서 나올 무렵 어스름이 깔리기 시작한다. 소란에 들뜨는 성탄 전야 도심으로 발길이 향하지만, 가슴은 떠나온 백사마을에 내려앉는 정적으로 깃든다.



금화산에서 건너다본 백사마을




처음 만난 공가




백사마을 언덕길에서 저 멀리 보이는 전혀 다른 세상




누군가의 이름이 있었던 자리 




아직도 누군가 있을 듯한데




못다 쓴 연탄 몇 덩이가 는적는적 뭉그러져간다 




골목 끄트머리 저기, 화장실 아닙니다




이름 자체만으로 눈물겹다




예수 믿는 사람 떠난 자리에서 예수는 여전히 고난 받는가




백사마을 떠나며 불암산 자락에서 바라본 북한산 능선이 유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