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어디 SNS에 한국인은 우울장애에 취약하다고 썼더니, 무슨 근거로 그런 말을 하느냐는 댓글이 올라왔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한국인의 70%는 북방계다. 그들은 수천 년에 걸쳐 시베리아를 통과해 한반도에 정착했다. 시베리아 평원 혹독한 조건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바는 이른바 우뇌 활동, 그러니까 직관이 지닌 비교 우위다. 직관 우뇌는 전체 맥락에 주의를 기울이므로 부분에 집중하여 낙관하는 상황을 제어한다. 상황이 불투명할 경우, 최악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비판적 통찰이나 비관적 전망 능력이 발달하기 마련이다. 만일 좋지 않은 상황이 장기화하고, 거기에 적응해온 생활 경험이 유전 근거가 된다면, 내 발언은 의학적 유의미성을 획득한다. 우뇌 활성 우위 장기적 고착은 우울장애에 노출되는 길을 활짝 열어놓는다. 실제 통계로 한국인의 75% 정도가 왼쪽 눈이 작다. 왼쪽 눈이 작다는 사실은 우뇌 우위 증거가 된다.

 

75%, 즉 다수는 좌뇌 패권 사회에서 피지배층을 형성한다; 좌뇌 우위 소수에게 수탈당하는 먹잇감이 된다. 그 수탈 과정과 결과를 개인 차원에서 의학적 진술로 번역한 말이 바로 우울장애다. 녹색 뇌 이야기를 통해 역설한 우뇌 혁명은 이런 정치경제학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혁명이란 용어를 동원한 까닭은 지배 세력이 이 문제를 앞장서서 해결할 리 없으므로 수탈당하는 사람, 그러니까 우울장애를 앓는 생명공동체가 수탈체제, 그러니까 질병 체제를 전복해야 한다는 뜻에서다. 질병 체제를 전복하려면 공동체 구성원이 스스로 일어나 연대해야 한다. 스스로 일어나 연대하려면 공동체 구성원 각자가 각성해야 한다. 각자 다른 소향과 정황을 모두 끌어안은 생명 장()이 있다는 진실을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여야 한다. 제국주의 백색의학이 각자도생을 선동할 때, 반제국주의 녹색의학은 생명공동체의 팡이실이를 선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