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약물요법은 존속살해다

 

환자들 대부분은 여러 종류 약을 한꺼번에 처방받는다. 노인 환자들은 특히 그렇다.·······이 약들은 모두 인지장애, 착란,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노인들에게는 꽤 높은 사망률을 유발하는 증상이다. 그리고 대개 환자 본인과 보호자들은 그런 증상을 고령 때문이라고 생각하거나, 치매 또는 파킨슨병 같은 질환 징후로 잘못 해석한다. 하지만 의사가 약 처방을 중단하면 환자 중 다수는 분명히 몇 살쯤 젊어져서, 균형을 잡지 못해 사용하던 바퀴 달린 보행 보조기를 치워버리고 다시 활동적인 모습으로 돌아간다.”(235)

 

<8. 약 유행병이 창궐하고 있다>에서 이미 70대 노인쯤 되면 양약 서너 가지는 기본으로 복용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설마 하겠지만, 사실 노인 환자들에게는 약 욕심이 있다. 이는 모름지기 이들 세대가 지나온 식민지, 전쟁, 독재 세월에서 겪은 곤경·가난과 맞물린다. 밥 많이 먹으라는 말이 축원이었던 시절이 여전히 그들 가슴 속에는 살아 있다. 더욱 설마 하겠지만, 사실 노인 환자들에게는 약 자랑까지 있다. 한 보따리 약은 자신이 얼마나 고생하며 살아왔는지에 대한 훈장으로 반짝인다. 왜 아니겠나. 공감한다. 공감한다고 해서 공갈범 희생양이 되는 꼴을 두 눈 뜨고 보아 넘길 수는 없다.

 

이런저런 양약 치료 받으며 전전하다가 경로당에서 침 한번 맞아보라는 소리 듣고 찾아온 노인들에게 일일이 물어 양약을 확인한다. 양의들은 한약 암만 봐도 모르지만 나는 양약을 잘 안다. 내가 유식해서가 아니다. 약학정보원이 자상하게 알려준다. 그 과정에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노인들은 대부분 과다중복처방을 받고 있다. 이를 피터 C. 괴체는 다중약물요법이라 하는데, 내가 과다’ ‘중복이라 한 것은 그만한 까닭이 있다. 같은 질병에 같은 기전을 지닌 약물을, 심하면 서너 가지까지 겹쳐 처방하기 때문이다. 이런 내용을 상세히 말해준 다음, 양의한테 가서 항의하지 말고 힘들어 그러니 줄여 달라고 하라, 초군초군 일러준다.

 

넘어져서 타박상이나 염좌를 일으켜 오는 노인에게는 특히나 신경을 쓴다. 약 때문에 넘어진다는 사실을 말해주면 대부분 미심쩍어한다. 넘어지면 사망 확률이 높아진다고 말할 때야 비로소 눈이 동그래진다. 넘어져서 대퇴부 골절이 일어나는 경우 절반가량이 1년 이내에 사망한다는 통계를 들이밀어야 할 경우도 없지 않다. 상황이 이런데, 본인도 가족도 양의사도 무슨 증상이 생기면 거기 맞추어 약을 추가로 먹어야 한다고만 생각한다. 아는 자는 알아도 모르는 자는 몰라서 노인을 소리 없이 학대하고 죽음으로 몰아간다. 제국주의 백색의학에게 노인은 여성, 아동과 더불어 또 하나의 봉일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