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는 빅브라더다

 

  우리가 약 유해성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없는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임상의는 심각한 유해 반응을 당국에 보고하게 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1% 정도만 보고가 이루어진다고 추정된다. 의사들은 바쁜데다, 유해 반응이 약과 관련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무시해버리곤 하는데, 그래야 편하기 때문이다. 유해 반응을 보고한 의사는 다시는 그런 짓 하지 말아야겠다는 교훈을 얻을 수밖에 없다. 제약회사에서 계속 사람을 보내 환자에 대해, 그리고 환자가 복용하는 다른 약 등에 대해 온갖 질문을 하며 괴롭히기 때문이다. 약 위해성에 진짜 관심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듯하다. 피해자 제외하고 말이다.(217-218)

  약을 안전하게 처방하는 데 필요한 모든 약 정보를 임상의가 알아낼 수 없으므로, 당연히 의사들은 의학적 오류를 많이 범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규제당국이 약을 하나하나 별개로 볼 뿐, 의사들이 자기가 사용하는 약들에 관한 모든 경고를 다 알 수는 없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는 데 있다. 규제당국에 중요한 사실은 이뿐이다: 우리 잘못 아님. 우리는 경고했음.(233)

 

의사에게 신약을 설명·소개하는 제약회사 신약 정보 담당 영업 사원을 detail man이라 한다. 악마는 detail에 있다는 말과 미묘하게 어울린다. detail을 놓칠 수밖에 없는 임상의 조건과 이를 악용하는 제약회사와 규제당국 detail은 비대칭 대칭을 이룬다. 제약회사와 규제당국은 악마 짓도 이렇게 야비하게 한다. 의사는 돈에 낚여 자의 반 타의 반 저들 악마 짓에 부역한다. 그 틈에서 환자가 죽어간다.

 

이 틈은 환자 이외 사람들에게는 벽이나 다름없다. 환자에게는 무섭도록 큰 허방이다. 왜냐하면 의사를 신뢰한 결과 빠져드는 사망 공간이기 때문이다. 안타까운 것은 사망 순간까지 환자들은 의사, 그러니까 제약회사, 그러니까 규제당국이 악마임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살인자 기척을 느끼지 못한 채 살해당하는 일보다 더 참담한 일이 대체 어디 있단 말인가. 병으로 죽는 사람이 겪는 이중고다.

 

제약회사와 규제당국이 한통속이라는 사실 내막은 단순한 부패동맹을 넘어선다. 자본이 권력을 먹어 권력을 사적 형태로 만들었다는 말이다. 이러다가는 기업이 정부를 통째로 사는 일이 벌어질 터이다. ‘사실상이미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우리 사회 경우 삼성이 권력의 일정 부분을 매수한 측면을 두고 삼성 장학금이라 표현한다. 공동체 전체가 거대 기업 독점 망에 걸리는 일이 꼭 상상만은 아니다.

 

종교적 권위를 지닌 의사가 처방하는 약으로 인간 정신을 지배한다면 의외로 상상은 간단하게 현실이 된다. 사실상 SSRIADHD 약은 이미 이런 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이른바 양극성장애에 일단 포획되면 한평생 저들 백색 화학합성물질에서 벗어날 수 없다. 나는 이 광경을 가까이서 목격한 바 있다. 앞으로 속수무책 당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자꾸 떠드는 거다. 부디 이 소식이 널리 퍼져가기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