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제국주의 부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서구 지식인과 학자 담론은 자본주의, 그러니까 경제 환원주의 일색일까?

 

자본주의는 왜 그토록 지정학적 맥락이라는 현실에서 분리, 추상화됐을까? 자본주의를 한 시스템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서구 근본주의 편향은 사악한 진면모를 감추려는 방편이다(세드릭 로빈슨). 이를 통해 우리는 서구 지식인과 학자 담론이 인종차별주의, 제국주의, 그리고 세계 권력 위계를 지탱하는 조직적 폭력구조를 본격적으로 다루기보다 추상적 경제 체제에 대해 논의하는 데에 더 편리하도록 기획돼 있음을 알 수 있다.”(166~171)

 

모든 문제를 돈 문제로 만들면 평평하고 납작한, 그러니까 매끄러운 추상 서사로 거짓말할 수 있다는 말이다. 누군가 특수한 사실을 이야기할 때 일거에 무너뜨릴 한마디는 다 그렇지 뭐.”. 본디 보편은 없다. 보편을 말하는 자가 사기꾼이다. 제국주의 사기꾼이 휘두르는 전가 보도가 자본주의다.

 

사기술로서 자본주의는 사회 모든 분야를 산업화로 낚는다. 산업화는 근대라는 신이 창조한 이적과 기사다. 의학이 예외일 리 없다. 산업의학은 평범한 사람 상상을 뛰어넘는다. 산업의학은 사회 전체를 의료화했다.

 

오늘날 인간은 태어나기 전부터 병원 관리를 받는다. 산업 출산은 기본이다. 이후 생애 모든 과정에서 의료 시스템 지휘 감독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죽음과 그 의식까지 병원에서 치른다. 마치 인간 생사 전체가 질병이기나 한 듯 온갖 일에 의료는 촉수를 뻗치고 돈을 빨아들인다. 생사를 볼모로 수탈하는 짓은 얼마나 반의학적인가. 산업의학은 돈에 미친 지배 권력과 엘리트 집단이 벌이는 협잡 수단이다. 그렇지 않은 면도 있다는 말은 구차하다. 이미 일극 집중구조가 굳어진 마당에 조선일보 문화면같은 부분이 있다고 한들 무슨 정당성을 확보하겠나.

 

날로 비대해지는 암 병원을 볼라치면 바로 그 암 병원이 암 덩어리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을 죽여가면서 벌어들이는 돈으로 향락적 삶을 구가하는 자들에겐 황금알을 낳는 거위일 테지만, 내게는 분노와 슬픔을 자아내는 어두운 동굴일 따름이다.

 

목하 암암리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는 국가 주도 정신건강 사업도 마찬가지다. 토건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서구, 특히 미국이 짜놓은 정신의학 체계는 그야말로 장사판이다. 돈이 되면 넣고 안 되면 빼는 식으로 진열한 병명만도 370개가 넘는다. 370여 개의 돈줄 던져놓고 마음 아픈 사람 낚아 올리는 블루오션에 자본이 문어발 뻗는 일은 당연하다.

 

인간 몸도 맘도 제국주의 백색의학 돈벌이 수단이 된 오늘을 나 역시 살아야 한다. 불평등한 경제구조에 편승하고 다시 그 불평등을 촉진하는 제국주의 백색의학 거대한 힘 앞에서 변방 의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인욕하고 진욕(進辱)하는 길에서부터 반제국주의 녹색의학은 출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