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산 관악 마지막 골짜기 길이다. 엄밀히 말하면 삼성산과 호암산을 가르는 북쪽 골짜기에서 들어가 남쪽 골짜기로 나오는 길이다. 북쪽 골 물은 도림천 작은 지류라 달리 이름이 없고, 남쪽 골 물은 안양천 지류지만 제법 커서 삼막천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지도상으로는 북쪽 골짜기 마지막 부분에서 직진해 넘어가지 않고 좌우로 갈라져 들어가다가 능선길을 만나면 돌아와 넘게 돼 있다. 늘 하는 방식을 따라 나는 지도에 없는 내 길을 만들며 직진했다. 골 물을 따라간다고 생각했지만, 이번에도 가다 보니 결국은 능선을 따르고 있었다. 구태여 돌아갈 필요는 없지만 능선을 좋아하지 않는 취향상 아쉽고 또 아쉬웠다. 반전이 시작됐다. 능선임에도, 대부분 소나무 군락지임에도, 의외로 많은 버섯이 반겨주었다. 이들이 나를 불렀구나, 그리 여기지 않을 수 없을 정도였다.


능선 벼랑 끝에 있는 기이한 바위

 

남쪽 골짜기로 내려오는 길도 지도에는 있지만 거의 폐쇄되다시피 한 소로였다. 인적이 전혀 없었다. 갖가지 버섯이 왕국을 이루고 있었다. 정오쯤 되자 갑자기 게릴라 폭우가 숲을 뒤덮었다. 온몸을 적시는 정도가 아니라 숨쉬기를 가로막는 듯한 분위기가 휘몰아쳤다. 커다란 활엽수 아래로 들어가 쓰나 마나 한 우산이지만 얼굴만이라도 가리자 하고 한참을 서 있었다. 포장도로 가까이 이르자 비가 서서히 잦아들었다. 관악역 근처 식당을 찾아 들어갔다. 내처 걸을 수는 없겠다 싶어서였다.

 

장마철 일요일이라 그런지 식당은 썰렁했다. 40대 하나와 20대 둘 남자 사람들이 구석 탁자에 앉아 가지고 온 양주를 마시며 이야기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대화 주도권은 40대가 쥐고 있었는데, 주식 하는 기법을 전수하고 있었다. 대학생으로 보이는 20대 초반 둘은 인생을 걸었다는 표정으로 그 이야기에 집중했다. 그 말들은 하나같이 내 귀를 통과하지 못하고 되돌아갔다. 숲속에서 버섯이나 만나고 나온 이 물에 빠진 늙은 생쥐는 얼마나 물색없는 동물인지···


다시 선 백악, 저 멀리 아스라하게 관악이 보인다.

 

전철로 이동해 한강 저 건너편 주산 백악으로 다시 들어갔다. 장마 탓에 늘 붐비던 그 길도 인적이 끊겼다. 홀로 한 바퀴 돌아 청와대 전망대에 섰다. 언제나 그렇듯 마음이 납덩이처럼 무겁다. 리투아니아 가서 아무 짓이나 막 해대는, 우크라이나 가서 아무 말이나 막 해대는 두 인간을 축원하며 여덟 자 진언 부적 하늘 향해 태우고 손 모으고 고개 숙이고 춘추관 길로 나오면서 다시는 이 길로 드나들지 말자고 다짐했다. 저들 장단에 이런 하찮은 춤마저 추어서는 안 되겠기에 말이다. 북촌 골목길을 이리저리 돌아 국시 집에 들어서니 여섯 시, 집을 나선 지 여덟 시간이 훨씬 지난 시각이었다.

 

막걸리 한 대포로 해갈은 했지만, 무지렁이 부역자 인생 고뇌를 해결할 길이 보이지 않아 막걸리가 더 들어가도 국시가 들어가도 헛헛하기만 했다. 이렇게 금방 일어나세요? 묻는 점장에게 웃어 보이고 천천히 걸어 광화문으로 나왔다. 다시 똑같은 밤이 시작될 무렵, 밤의 대통령이 다리 꼬고 앉아 있는 건물 맞은편에서 버스를 탔다. 취기가 벌써 가셨으니 밤이 길겠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