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역사에서는 법학, 신학, 의학을 3대 신성 학문이라 일컫는다. 법관·사제·의사는 공적 업무를 행할 때, 가운을 입는다. 가운을 입고서 보수적이지 않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3대 신성 학문은 자연스럽게 보수가 된다. 아니다. 태생 생태 자체가 보수 본성을 지닌다. 이런 보수 영지를 모두 지나서 나는 여기까지 왔다. 현상적으로는 내가 그 지성소 진입에 실패한 과정이다. 현상 이면에는 “웅숭깊어 선명하지 않은 어떤 깨달음”이 있어서 나를 성공 지향 인생에서 쫓아내 성취 지향 인간으로 떠돌도록 내몰았다; 찢긴 내 영혼 멱살을 움켜잡고 메타적 직관으로 끌고 가 내동댕이쳤다. 나동그라져 바닥에서 보니 위에서는 보이지 않던 진실이 보인다.
구태여 따지고 보면 법학은 사회과학, 신학은 인문(과)학, 의학은 자연과학 범주 안에 있으니 내 경험 영역은 전 학문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나머지 학문에 대해 자세하게 논급할 지구력이 갑자기 툭 떨어진 개인적 곡절이 여기 있다. 그러나 문제는 언제나 개인을 넘어선다. 더군다나 악마는 디테일이라는 훨씬 정겨운 이름으로 역사한다. 각성한 사람들이 각각 자기 관심 분야에서 디테일 진실을 찾아내야 악마, 그러니까 부역 집단이 파묻은 우리 공동체 생명 네트워킹을 복원할 수 있다. 가령 이렇게 기습당해 옆구리에 비수가 꽂혀야 정신이 화들짝 되돌아온다.
부역 국어국문학자 이희승은 그렇다 치고, 최현배가 어떻게 골수 부역자인지 나는 전혀 알지 못했다. 한글을 지킨 대단한 스승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조선총독부 관비 장학생으로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를 나왔으며 훈민정음 합용병서 원칙을 파괴하려 조선총독부가 기획한 <언문철자법> 만들기에 부역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대체 어디서 어디까지 망가졌는지, 도무지 믿을 무엇이 있기는 한지, 나는 형언할 수 없는 참담함에 수직으로 떨어져 내렸다. 끝이 아니었다. 바로 이어서 나는 그와 어울려 학계를 석권했던, 이 땅에서 고등학교만 나왔으면 이름 석 자 다 아는, 뜨르르한 스승들 대부분이 부역 패거리에 속해 있다는 사실마저 알아버렸다. 갑자기 생각이 멈추고 온몸이 마비되는 느낌에 사로잡혀 아무 짓도 할 수 없었다.
말 나온 김에 아예 이야기 하나 보탠다. 진보 사학계 거두 강만길은 노무현 정부 시절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부역자 명단에서 이병도는 물론 그와 함께 부역 사학자로 이미 잘 알려진 신석호를 제외했다. 신석호가 그의 스승이기 때문이었다. 이런 정도라면 대한민국 학문, 그 주체인 학자가 지닌 정체성을 전면적으로 의심, 아니 정조준해야 한다. 부역자를 다 때려잡자는 말이 아니라는 점을 굳이 강조할 필요는 없다. 부역 사실로 그 인간 전체를 매도하려 하지 않는다는 말도 애써 할 필요가 없다. 사실을 사실대로 밝히고 비판과 단죄받을 부분은 받게 해 역사를 바로 세우면 된다. 나머지는 오늘 이후 살아갈 공동체 구성원 몫이다. 돌로 칠 죄 없는 자 없으니, 살아 있는 부역자라면 스스로 결곡히 자백하고, 벌을 달게 받고, 진실로 참회하고, 그 참회를 학문 내용으로 증명하는 네트워킹 운동을 일으켜야 한다. 실현 가능 여부는 이미 우리가 예상하는 바대로다.
끝으로, 이 또한 가 닿을 가능성 희박한 이야기인 줄 알면서도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 유학하고 돌아와 여러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른바 진보 또는 좌파 지식인, 학자들에게 다시 한번 하고 싶은 말이 있다. 그들 거의 모두가 스스로 식민지 부역자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한다. 분명히 해두자. 그들은 부역자다. 그들이 제국에서 배운 대로 이 땅 문제를 해석하고 변혁하려 하는 한, 이 땅에 두껍게 깔린 식민지 실재를 범주로 삼지 않는 한, 불가피하다. 진보 또는 좌파라는 굴레를 쓰려고 하지 않는 자들은 아예 입에 담을 가치도 없다. 흔히 말한다: 일본, 미국 유학 갔다 왔다고 다 부역자는 아니다. 이런 부정 어법은 합리성을 훔치는 대표적 수사다. 이런 말에게 나는 질문한다: 아니면 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