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문과 한의학, 치료로 만나다(2014,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에서 원효 사상을 논하던 중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경주김씨 신라가 일으켜, 삼국의 대립을 끝내고 민족의 대통합을 이룬 역사적 사건으로 우리에게 전승되고 기억되는,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668년 고구려가 멸망한, 저 삼국 전쟁은 우리가 그렇게 알고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른 내면 진실을 지닙니다. 648년 김춘추는 당 태종과 밀약을 맺습니다. 고구려와 백제를 치는 데 성공하면 대동강 이북의 영토를 넘겨주겠다는 내용입니다. 민족사 전체를 왜곡한 매판의 길은 이렇게 열렸습니다. 그래 놓고 삼한통일로 상징조작을 한 것입니다. 광활한 고구려 영토 대부분과 그 백성은 물론 수많은 백제 백성까지 팔아넘기고 당의 연호 아래 그 체제를 국가 경영의 근간으로 삼은 일을 두고 어찌 삼한통일이라 할 것입니까. 대체 누가 어떻게 이런 이데올로기를 만든 것일까요.

 

김춘추의 아들 문무왕 김법민은 흉노 수장으로 한건국에 공을 세워 투후가 된 김일제가 자기 조상이라 천명했습니다. 김일제 후손은 왕망의 난이 일어나 입지가 흔들리자 한반도 동남부로 이동해 왔습니다. 거기서 내세운 시조가 바로 김알지입니다사실이면 사실일수록 아니면 아닐수록 이 주장은 김일제 집단과 김춘추 집단의 매판적 본질을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 주니 절묘할 따름입니다. 만일 흉노가 동이와 같은 정체성을 지닌 민족이라면 김춘추 집단의 통일신라 내러티브는 모순입니다. 당과 야합해 동이족인 고구려와 백제를 치면서 삼한통일이라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이 경우, 통일신라 내러티브는 매판 행위를 은폐하려는 술수일 따름입니다. 만일 흉노가 동이와 다른 정체성을 지닌 민족이라면 김춘추 집단의 통일신라 내러티브는 기만입니다. 고구려와 백제와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것은 민족통일이 아니라, 이민족 정복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통일신라 내러티브는 침략전쟁을 은폐하려는 술수일 따름입니다. 덕업일신망라사방德業日新網羅四方? 실로 가소로운 말장난입니다. 덕업德業은 전쟁입니다. 일신日新은 당나라 좇는 것입니다. 한반도 허리 아래 땅에 웅크리고서 할 수 있는 일은 사방四方을 망라網羅하는 게 아닙니다. 사방을 망보는 것입니다. 거창한 이름 자체가 모순이고 기만입니다.

 

삼국 전쟁이 끝난 뒤 짧은 세월의 번영기를 빼고 신라는 급격히 쇠락과 멸망의 길로 접어듭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국가적 잠재력을 흡수하지 못한 사이비 통일임을 증명하는 결과입니다. 흥융興戎의 피해가 흥륭興隆을 심각하게 잠식해버린 것입니다. 신라 그 매판의 역사는 동이 정체성을 지닌 왕건 집단, 고려의 건국으로 외막이 내려집니다. 왕건 집단은 동이의 가치, 고구려 재현을 기치로 세웁니다. 그러나 신라의 내막을 온존하는 치명적 실수를 범함으로써 결국 실패하고 맙니다. 김부식으로 상징되는 신라 집단이 도리어 흉노의 꿈을 재현합니다. 고려를 송에 조아리게 하고, 원에 무릎꿇림으로써 고구려를 당에 팔아넘긴 그 매판적 조상의 길로 회귀합니다. 고려는 얼마간의 회복국토와 KOREA 이름을 남기고 사라집니다.

 

고려 그 아쉬운 동이 재건의 역사는 이성계 집단, 조선의 건국으로 외막이 내려집니다. 이성계 집단은 동이의 가치, 고조선의 재현을 기치로 세웁니다. 그러나 고려와 같이, 신라의 내막을 뿌리 뽑지 못함으로써 결국 실패하고 맙니다. 송시열로 상징되는 서인 노론 신라 집단이 도리어 흉노의 꿈을 재현합니다. 조선을 명에 조아리게 하고, 왜에 갖다 바침으로써 고구려를 당에 팔아넘긴 그 매판적 조상의 길로 회귀합니다. 조선은 압록·두만 경계와 한글을 남기고 사라집니다.”(75~77)

 

특권층 부역 집단을 통시적 축으로 삼아 구성해본 경주김씨 신라에서 조선까지 얼개 서사다. 동의할 사람은 드물겠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날 신라 집단이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인류-인류학을 만들면서 서구인이 말한 그 인류- 시선으로 볼 수 있다면, 대뜸 공감할 일이다. 신라 집단 실재는 상상력 공동체 인류아닌 분석 집단 서구인 시선으로는 포착할 수 없다.

 

이 대목을 읽었던 독자 가운데 김일제 후손 이야기에 관해 묻는 이가 적지 않았다. 실제 <문무왕릉비>에 위 내용이 실려 있으며, 같은 내용이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도 있다. 제 가계를 신성하게 보이기 위해 날조했다 하더라도 그런 의식을 지녔으며 훗날을 위해 명문화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런 의식이 무의식으로 침윤되어 오늘날 영남인 정치적 정체성을 강고하게 사로잡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서사에 이런 이름을 붙인다: 김춘추의 저주.

 

김춘추가 이세민(태자 시절 당 태종)과 맺은 늑약은 단회적 사건으로 끝나지 않았다. 역사를 거듭하며 특권층 부역 집단은 송----미로 이어지는 제국과 유·무명 늑약을 수없이 맺어왔다. 마침내 가쓰라 태프트 늑약을 제물 삼아 을사년(1905) 보호 늑약, 경술년(1910) 합방 늑약으로 조선 숨통을 끊기까지 저주는 계속됐다. 국권 회복 이후에도 이승만이 국군통수권을 헌납한 대전 늑약(1950), 박정희가 일제를 면죄한 한일 늑약(1965), 박정희 딸 근혜와 뉴라이트 윤기중 아들 석열이 맺은 일군 성노예 늑약(2015, 2023)으로까지 이어지며 유구한 저주로 작동하고 있다. 윤석열 정권이 지금 하는 짓은 이완용 집단이 경술년에 했던 짓을 떠올리게 한다. 김춘추의 저주는 힘이 이토록 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